"부장님도 지브리 프사?"…챗GPT 이용자 역대 최다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이미지생성 모델을 새롭게 출시하며 열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챗GPT의 일간 이용자 수가 처음으로 120만명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292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10일 기준 챗GPT DAU는 103만3733명을 기록한 바 있는데, 약 2주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경신했다. 1달 전인 지난 3월 1일까지만 해도 챗GPT DAU는 79만9571명에 불과했다.
이같은 이용자 급증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출시한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을 출시한 게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실제 해당 모델이 공개된 이후, 전 세계의 챗GPT 이용자들이 디즈니, 심슨 가족 등 인기 애니메이션 화풍의 이미지를 생성해 소셜미디어(SNS)에 올리며 화제가 됐다.
특히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화풍은 '하울의 움직이는 성',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 일본의 대표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지브리의 화풍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도 지난달 27일 자신의 X(엑스·옛 트위터) 계정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올려 주목을 끈 바 있다.
해당 모델은 오픈AI의 멀티모달 AI 모델 '챗GPT-4o'와 결합한 이미지 생성 모델로, 명령어를 하나하나 입력할 필요 없이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다만 각종 부작용과 우려도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챗GPT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 수요가 급증하자 올트먼 CEO는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성능을 개선하는 동안 해당 기능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와 함께 특정 콘텐츠 화풍으로 인한 저작권 침해 문제 등의 우려도 제기된다. 오픈AI는 모델 훈련에 사용된 구체적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주요 외신들은 스튜디오 지브리 등의 작품으로 훈련받았을 시 승인 여부 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이음5G 현황下] 확산 한계치 도달?...“DX본격화 되면, 수요 급증” 전망도
2025-04-04 19:46:29법원, 방통위의 KBS 신임감사 집행정지 신청 ‘기각’
2025-04-04 19:41:00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