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K-배터리 3사, 非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38.6%…전년비 6.2%↓

고성현 기자
1~2월 비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SNE리서치]
1~2월 비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SNE리서치]

[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국내 배터리 3사가 올해 1~2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6.2%포인트(p) 하락한 38.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10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 점유율은 38.6%였다. 그간 전기차 배터리 총 사용량은 58.3GWh로 전년 동기 대비 27.3% 성장했지만, 지속적인 삼원계 배터리 공급 부진에 따른 여파로 역성장한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14% 성장한 12.2GWh를 기록하며 중국 CATL에 이은 2위를 유지했다. 반면 삼성SDI는 22.2% 감소한 4.2GWh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삼성SDI의 하락세는 유럽 및 북미 시장 내 주요 고객사의 배터리 수요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SK온은 시장 평균 성장률(27.3%)을 상회한 38.6% 성장하며 3위에 올랐다. 현대차그룹으로의 탑재량이 최대로 작용한 가운데, 메르세데스 벤츠·폭스바겐 등으로의 판매량 호조가 이어지면서 성장세를 탔다.

CATL, 비야디(BYD) 등 중국 배터리 제조사들이 대부분 평균 성장률을 상회하는 실적을 내며 상승세를 거듭한 가운데, 국내 배터리 3사가 주력하는 삼원계 배터리 수요가 떨어진 것이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급감한 전기차 수요와 정책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가격이 비싼 삼원계 배터리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자체 배터리 생산에 나선 테슬라는 작년 11월부터 지표에 편입된 이후 생산 능력 확대에 따른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테슬라는 전년 대비 750% 성장한 1.7%을 기록하며 7위를 유지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리튬인산철(LFP)을 앞세운 중국 기업과 국내 기업 간 글로벌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봤다. 특히 현대차의 현지 전략형 모델 출시, 타타자동차의 신규 전기 SUV가 공개된 인도 등 동남아 시장 내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어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전망이다.

SNE리서치 측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지역별 정책 변화와 신규 모델 출시라는 변곡점을 맞이하면서, 한국 기업들은 공급망 안정화와 맞춤형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했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성현 기자
naretss@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