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분기 공포의 증시 변동성에도 ‘에임’ 성적표는 플러스… "AI기반 자산관리 성과"

박기록 기자
ⓒ에임
ⓒ에임

- 1분기 지수 대비 7% 이상 초과 수익 기록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대표 이지혜)은 올해 1분기(1~3월) 글로벌 증시 하락 속에서도 AIM 앱 투자 수익이 평균 3%대 수익률을 기록해 같은 기간 S&P500(-4.3%)과 나스닥(-10.3%) 지수 대비 약 7%의 초과 수익을 거뒀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글로벌 최상위 헤지펀드와 유사한 수준의 성과"라고 에임측은 설명했다.

에임은 "이번 성과를 단순히 단기 수익률 차원에서 볼 것이 아니라, 위기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투자 원칙이 AIM의 차별화된 수익 안정성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 사례"라고 강조했다.

에임에 따르면, 최근 업그레이드된 ‘AIM 2.0’의 알고리즘 ‘에스더(Esther)’는 더욱 정교하게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설계해, 시장 위기에는 이용자 자산을 지키고 상승기에는 수익 기회를 포착해 자산을 늘리는 자동 리밸런싱 전략을 추구한다. 투자자의 감정 개입 없이 위험을 제어하고 안정적인 분산투자가 가능한 구조다.

에임은 코로나 팬데믹, 글로벌 긴축 기조 등 지난 금융 위기 국면에서도 하락장 방어 능력과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지속적으로 입증해 왔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코스피 지수는 24.89%, S&P 지수는 18.11% 하락한 폭락장에서도 에임은 위험을 최대한 줄이는 자산배분 전략으로 2.0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지혜 에임 대표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로 체감되는 글로벌 디커플링이라는 새로운 시대적 기조를 이해하고, 일부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향후 5년을 준비하는 자산배분과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이 중요한 시점”이라며 "다수의 개인투자자들이 막연히 시장의 회복을 기다리며 과거형 자산배분을 유지하는 경우가 잦아 수년 간 큰 기회비용을 치르게 되는 점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월가 헤지펀드 퀀트 투자 매니저 출신인 이 대표는 지난 2016년 에임을 창업했다. 전 세계 77개국, 1만2700개 자산에 분산 투자하며, 채권과 ISD 등 안전자산도 함께 운영해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

박기록 기자
rock@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