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방어체계, 혼자서 만들 수 없다"…N²SF연구회 발족
김창훈 대구대학교 교수가 24일 서울 서초구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한국사이버안보학회(KACS) 정기총회에서 N2SF 연구회를 소개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국가정보원(이하 국정원)이 국가망보안체계(N²SF)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지원할 연구회가 출범했다. 연구회는 N²SF 발전 방향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양질의 정보를 생산하고, 공급 및 수요처와 함께 생태계 확장에 돌입한다.
한국사이버안보학회(KACS)는 24일 서울 서초구 양재 엘타워에서 정기총회를 열고 N²SF연구회를 발족했다. 이날 현장에는 연구회 회장을 맡은 김창훈 대구대학교 교수가 무대에 올라, 향후 방향성과 전략을 소개했다. 연구회 간사는 이택규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이 맡는다.
김 교수는 "N²SF는 심층 방어 체계"라며 "그만큼 다뤄야 하는 기술이 많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 연구소 혹은 기업이 (혼자서) 연구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다"라며 "산·학·연 그리고 학회가 유기적이면서 체계적인 협력을 통해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회는 'N²SF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양질의 정보 생산'을 목표로 ▲기술 고도화 ▲정책 연계 가능성 ▲실증 및 적용 확대 ▲협력 생태계 조성 등 네 가지 전략을 추진한다.
먼저 기술 고도화 영역에서 N²SF 보안 가이드라인의 기술 기준 체계를 정립하고, 실증 기반 기술 개선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정책 연계 가능성 분야에서는 국가 정보보호 정책과의 정합성을 강화하고, 적용 대상 기관과의 상황을 고려한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실증 및 적용 확대 영역에서는 주요 공공기관 중심의 실증과 피드백 체계를 구축하고, 실무 적용 사례를 축적할 방침이다. 아울러 협력 생태계 조성 분야에서는 산·학·연·관 전문가 중심의 연구회를 운영해, 기술 정책 및 법제도 협력 기반을 마련한다.
연구회는 수요처(공공·금융) 및 공급처(KT컨소시엄)와의 협력도 모색한다. KT컨소시엄에는 기존 다층보안체계(MLS)에 참여했던 국내 보안 기업들이 참여한다. KT컨소시엄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의 DPG허브의 주 사업자이기도 하다.
한편 연구회는 5월 중 비공개 세미나를 개최해, 연구회 조직 운영 방향과 향후 전략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연구회 결과물이 나올 경우 공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대학교에 교육 자료를 배포하고, 기업 등 기관에도 정보를 전달한다는 구상이다. 관련 사례집을 발간하는 안도 구상 중이다.
김 교수는 "국가적으로 N²SF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국가적인 이슈로 떠오른 만큼 많은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로크웰, OT 전용 보안 서비스 출시…“연중무휴 대응”
2025-04-29 16:44:43[타임라인] SKT 해킹사고, 어떻게 인지했나…발견까지 72시간
2025-04-29 16:43:29하이브, 역대급 기록썼다…1분기 매출 첫 5000억원 돌파
2025-04-29 16:30:08금융위, 우리금융 M&A 이견 좁혔나…내달 2일 승인 유력
2025-04-29 16:0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