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지난 2004년 3월부터 적극 추진해 온 글로벌 IT R&D 센터 유치 사업이 ‘인텔 R&D센터’의 전격적인 철수로 삐걱대고 있다. 세계적 IT R&D 센터의 국내 유치로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동북아 IT허브로의 도약 기반을 마련하겠다던 정통부의 IT R&D 센터 사업은 이 사업의 첫 테이프를 끊었던 인텔이 5일 철수를 공식 발표함으로써 그 동안 업계서 제기됐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는 모양새다. 특히, 글로벌 IT R&D센터는 그동안 글로벌 기업 차원에서 실제 투자는 하지 않고 단순히 건물 임대와 기본 연구 인력들의 재배치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번 인텔 R&D센터 철수 사태가 향후 정통부의 R&D센터 유치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인텔 R&D센터의 철수는 정통부가 가장 먼저 유치한 R&D센터라는 의미 이외에도 정통부와 글로벌 기업간 공동 연구를 추진하는 ‘싱크탱크’로 출발했다는 차원에서 철수의 파장은 적지 않을 전망이다. 인텔 본사가 인력 15% 정도를 내보내는 구조조정 차원에서 단행한 조치이지만 정통부의 IT R&D센터가 다국적 기업과 공동으로 이뤄지고 있는 점으로 볼 때, 앞으로 경기 상황이 악화될 경우, 제2, 제3의 인텔이 출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통부의 IT R&D센터 사업 추진에 대해 종합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정통부는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인텔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도록 하고 4년동안 공동으로 연구개발비를 분담해 홈네트워크를 통한 멀티스트림 미디어 배포나 가정자동화, 차세대 홈서버에 대한 신기술을 개발키로 했지만 결국 이번 철수로 물거품이 된 셈이다. 또 이번 인텔의 R&D센터 철수가 직원에 대한 구조조정 차원이어서 다국적 기업의 연구원들 사이에서는 우수 인력의 R&D센터 파견이나 근무에도 적잖은 파장이 예고된다. 아울러 인텔의 R&D센터는 인텔코리아와는 또 다른 조직이기 때문에 현재로선 연구 인력의 신분상 불안정성은 매우 큰 편이다. 이같은 인텔의 문제는 다른 R&D센터도 안고 있어, 연구원들의 신분상 안정성 확보를 위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정통부는 그동안 ‘디지털 홈, 무선통신’을 연구 분야로 국내 첫 R&D 센터를 설립한 인텔을 시작으로 IBM, 지멘스, HP, 마이크로소프트, 썬마이크로씨스템즈, AMD, 모토로라 그리고 지난해 12월 BEA를 마지막으로 2004년 3월부터 지난해까지 총 15개의 IT R&D센터를 유치했다.
이가운데 인텔의 경우처럼 정통부가 나서서 공동연구나 매칭펀드 형태로 설립한 IT R&D센터는 철수를 결정한 인텔을 포함해 프라운호퍼 IGD, 모토로라,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IBM 등 5개이다. <안길섭기자> seobi@ddaily.co.kr <김태진 기자> jiny@ddaily.co.kr <채수웅 기자> woong@d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