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010 통합 논란③] 무르익은 010시대…20% 불씨 어떻게 해소할까

채수웅 기자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정부는 또 한번 과거의 교훈을 되새김질하며 3세대 이동통신서비스인 IMT-2000에서는 공통식별번호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사전적으로 검토하고 010이라는 식별번호를 부여했다.

010의 등장으로 비로소 다양한 정책이 시행될 수 있게 된다. 대표적인 것이 번호이동성의 제공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번호이동성제도는 90년대 중반에 검토됐지만 5개의 식별번호를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어렵다고 판단 수면아래로 가라앉았다.

또한 정부는 3G 식별번호인 010의 등장으로 인해 향후 이용자들이 3G로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면서 자연스럽게 2G와 3G를 포괄하는 이동통신서비스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러한 근거로 최초의 이동전화 번호이동성의 대상을 3G로 한정했다. 010 식별번호는 4자리수(010-NYYY-YYYY)이기 때문에 총 8천만명을 수용할 수 있다. 전체 인구수를 초과하기 때문에 모든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셈이다.

010의 안착은 생각보다 빠르게 전개됐다. 무엇보다 2위 사업자인 KT(당시 KTF)는 SK텔레콤과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011브랜드를 희석시키고 010으로 빠르게 전환시켜 저대역 주파수(800MHz) 이점을 감소시키는 절실했다. 때문에 KTF는 2008년 2분기에는 창사이래 처음 적자를 기록할 만큼 3G 전환에 공을 들였다.

생각보다 강한 KTF의 공세에 SK텔레콤 역시 3G 가입자 확보에 나설 수 밖에 없었고 LG텔레콤의 리비전A에도 010 번호가 부여되면서 올해 2월을 기준으로 010 가입자는 80%를 넘어섰다.

하지만 01X 가입자 20%를 남겨놓고 여전히 문제의 불씨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몇 안남은 01X 가입자 때문에 2G망을 운영한다는 것 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래서 010 전환을 서두른 KT는 조속한 시일 내에 정부가 번호통합을 단행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비록 011 브랜드가 과거에 비해서는 희석됐지만 여전히 많은 수의 가입자들이 011이라는 번호를 유지하기 위해 SK텔레콤에 남아있는 것도 후발사업자 입장에서는 편치 않다.

반면 여전이 2G 가입자가 많은 SK텔레콤 입장은 다르다. 여전히 011 브랜드를 선호하는 고객들은 타 사업자들의 유혹에도 자발적으로 남아있는 우량 고객들이다. 이들 가입자들이 ‘스피드 011’가치를 상실하는 순간 어느 이통사로 옮길지 모르기 때문에 SK텔레콤 입장에서 번호통합은 가능한 4G 활성화 시점까지 늦추는 것이 좋다.  

현재 SK텔레콤의 2G 가입자는 1300만명에 달한다. 충분히 망을 운영할 수 있는 수준의 가입자이다.  

방통위는 일단 정책적 측면에서 010으로 통합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어느 시점까지 허용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채수웅 기자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