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국내 진출 1주년, 무슨일이 있었을까?
[IT전문 미디어 블로그=딜라이트닷넷]
지난해 2월 10일, 국내 첫 안드로이드폰인 모토로라의 모토로이가 SK텔레콤을 통해 출시된 이후로 안드로이드가 국내 진출 1주년을 맞이했다. 애플의 아이폰3Gs가 국내 스마트폰 시장을 점령해가고 있을때 구글이 안드로이드로 출사표를 던진 것이다.
당시 안드로이드폰에 대한 호응은 그리 높지 않았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생소한점도 있었고, 국내 사용자들이 쓸만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의 부재도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영향을 줬다.
(쓸만한 앱들은 아이폰용으로 출시돼 많은 이들의 눈과 귀의 수준을 대폭 향상시켰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참고로 모토로이에 탑재된 안드로이드 버전은 1.6(컵케이크)으로 지금의 홈스크린과 위젯이 처음으로 도입된 버전이다. 현재 모토로이는 2.2(프로요)로 업데이트 된 상태다)
모토로이 이후에 삼성전자, LG전자에서도 안드로이드폰을 내놓기 시작했다. LG전자에서 보급형 안드로이드폰인 안드로-1을 시작으로 삼성전자의 갤럭시A, 팬택의 시리우스, HTC 디자이어 등 다양한 단말기가 출시됐다.
이 당시 안드로이드폰 시장에서의 가장 큰 관심사는 ‘2.2’업데이트의 유무였다. 지난해 1월 구글은 이미 2.2(프로요)의 SDK를 일부 공개했기때문에 기존 이클레어 탑재 안드로이드폰들이 프로요 업데이트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여부가 안드로이드폰 구입자들이 가장 큰 관심사였던 것. 특히 프로요는 어도비 플래시를 지원하고 USB테더링을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이때부터 ‘운영체제 버전 파편화’라는 것을 가지고 애플에서 구글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안드로이드 버전이 너무 빨리 변해서 하위 버전에서는 상위 버전을 지원하지 못한다’라는 것이 애플의 주장이었다.
실제로 안드로이드폰은 1.6, 2.1, 2.2 버전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1.6에서 지원하는 앱들이 2.1, 2.2에서 구동되지 않거나 반대의 경우가 생기기도 했다.
그러나 이를 반박하듯 앵그리버드의 칠리고 개발진은 “안드로이드 버전 파편화는 문제될 것이 전혀 없다. 차라리 애플의 폐쇄적인 앱스토어 운영이 더 문제가 될 것”이라는 말을 하며 논란을 종식시켰다.
안드로이드폰 제조업체들이 상위버전으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어 버전 파편화는 문제가 되지 않는 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2010년 하반기에는 우리나라 안드로이드폰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두 개의 단말기가 출시됐다. 바로 삼성전자의 갤럭시S와 구글의 넥서스원이다.
넥서스원은 안드로이드의 레퍼런스폰으로 많이 판매되진 않았으나 안드로이드의 기준을 세운 모델로 자리를 잡았으며, 갤럭시S는 뛰어난 스펙으로 인한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넥서스원의 경우 이통사 3G망을 통한 OTA패치와 가장 빠른 프로요 업데이트로 인해 '역시 레퍼런스폰'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붙게 됐다.
반면 갤럭시S의 경우 높은 스펙을 가졌으나 최적화에 실패했다는 혹평을 받기도 했다. 애플 아이폰4와 스펙은 유사하나 퍼포먼스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개인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들은 갤럭시S를 루팅해서 시스템 영역을 변경하는 등의개발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안드로이드는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시스템영역을 건드릴 수 있는 ‘root’권한만 얻는다면 얼마든지 시스템에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갤럭시S 출시 이후 ▲부두패치 ▲테그라크패치 ▲낙엽패치 등 개발자들의 닉네임을 딴 여러 랙픽스(lagfix) 패치(시스템 영역을 RFS에서 EXT로 변환시켜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 등의 패치)가 등장했고 관련 포럼도 생겨났다.
이러한 시기가 지나면서 국내 안드로이드폰 중에서는 처음으로 삼성전자가 10월에 ‘프로요’업데이트를 실시했다.
이때 가장 큰 화두가 됐던 것은 ▲타 제조사들의 프로요 업데이트 시기 ▲초기화 현상이었다.
초기화 현상은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에서 프로요 업데이트를 진행했을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기존에 설치한 앱, 주소록, 메시지 등의 정보들이 모두 초기화돼 사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했다. 이후 삼성전자는 초기화되지 않는 프로요를 새로 내놓기도 했다.
삼성전자가 프로요 업데이트를 실행할 당시 LG전자, 팬택, 모토로라, 소니에릭슨 등 타 제조업체들은 눈만 깜빡이고 있었다.
(이후 팬택은 1월, LG전자는 2월에 프로요 업데이트를 실시했다)
이후 구글 진저브레드와 함께 삼성전자의 넥서스S가 지난해 12월 등장하고, 태블릿PC용 운영체제인 허니콤도 올해 1월 공개됐다.
한편 운영체제 사양이 높아짐에 따라 안드로이드폰의 스펙도 높아졌다. OMAP4, 테그라2와 같은 듀얼코어 칩셋이 탑재되면서 진정한 ‘작은PC’로 거듭나고 있다.
안드로이드 국내 진출 1주년을 맞이해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당연히 숫자들이다.
1.6으로 시작했던 안드로이드 버전이 지금은 2.3까지 올라왔으며, 지난해 초 1만개에 불과했던 안드로이드 마켓 애플리케이션 숫자가 현재 15만개에 달한다.
이러한 기록은 구글 안드로이드폰가 공개된지 1년만에 이룬 것들이다. 앞으로 1년 뒤에는 어떠한 것을 보여줄지 기대가 된다.
[이민형 기자 블로그=인터넷 일상다반사]
토종 OTT 살린다…정부, 'K-OTT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 수립
2024-12-19 15:14:39이해민 의원, 국가 R&D사업의 신속성 확보 위한 'R&D 심사법' 발의
2024-12-19 15:14:15’외국인 투자 규제’ 저촉 논란 MBK… 과거 아시아나 화물사업 인수전에서 발뺀 사례 재조명
2024-12-19 15:07:35퀄컴 파운데이션, 초록우산과 지역아동센터 STEM 교육 진행
2024-12-19 15:03:28우리은행, 수출입기업 위기극복에 5000억원 규모 금융지원
2024-12-19 15: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