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

혁신 없는 혁신 시대…‘갤럭시S4’에 담긴 삼성전자의 해법

윤상호 기자

- 통신사 안드로이드 없는 미래 대비한 혁신 담겨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삼성전자는 지난 14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라디오시티에서 ‘갤럭시S4’를 공개했다. 갤럭시S4는 삼성전자의 올해 전략 스마트폰이다. 갤럭시S4는 향후 삼성전자가 전 세계 스마트폰 1위를 지켜갈 수 있을지 보여주는 잣대다. 통신사와 안드로이드 없이 홀로서기를 위한 삼성전자의 혁신이 시작됐다.

혁신은 양날의 검이다. 혁신 이미지는 브랜드 가치 상승과 직결된다. 혁신에 대한 평가는 뚜껑을 열기 전 알 수 없다. 업체가 생각했던 혁신과 시장이 생각했던 혁신의 수위가 다를 경우 혁신에 대한 찬사보다 실망이 여론을 지배한다. 기대치는 올라갔고 만족시키기는 쉽지 않다. 갤럭시S4 역시 혁신 유무에 대한 논란을 비켜가지 못했다. 애플이 작년 ‘아이폰5’를 통해 겪었던 것처럼 말이다. 아이폰5처럼 갤럭시S4도 혁신이 없는 것이 혁신이다.

◆갤럭시S4 노림수, 브랜드 가치 상승=갤럭시S4는 소비자를 향한 혁신보다 삼성전자의 브랜드 혁신 및 사업 구조에 대한 혁신 의미가 크다.

삼성전자는 2011년과 2012년 연간 스마트폰 최다 판매사다. 스마트폰 판매량 1위지만 브랜드 가치는 2위 애플의 절반 수준. 브랜드 가치평가 전문기관 브랜드파이낸스의  ‘2013년 통신 브랜드 상위 500위(Top 500 Telecom Brands 2013)’ 조사결과 애플은 브랜드가치 484억4600만달러로 1위 삼성전자는 237억4500만달러로 5위다. 브랜드 가치는 고객 충성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삼성전자의 세계 1위는 통신사와 구글의 도움이 컸다. 그 결과 하드웨어는 ‘삼성전자→통신사→고객’ 콘텐츠는 ‘삼성전자→구글→고객’이라는 통신사와 구글의 생태계 일부로 편입됐다. 이런 구조에서는 통신사나 구글이 ‘삼성전자가 아닌 다른 제조사를 밀게 되면’이라는 위험요소가 상존한다. 하드웨어 사양과 안드로이드폰 최적화 능력이 비슷해져 통신사의 선택의 폭은 넓어졌다. 제조사 인수 및 레퍼런스 단말기 다변화로 구글의 의중도 짐작키 어려워졌다.

◆모바일인터넷전화·자체 UI 강화, 소비자 친화 브랜드로=브랜드 가치에서 알 수 있는 점은 아이폰을 사기 위해 통신사를 바꾸는 비중보다 갤럭시를 사기 위해 통신사를 바꾸는 비중이 낮는 점이다. 아이폰은 아이폰만의 생태계가 있지만 갤럭시는 안드로이드 생태계 속 안드로이드폰 중 하나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경쟁력이 최전성기를 누리고 있고 아직 통신사와 구글이 믿을 만한 대안이 없는 지금이 브랜드와 사업구조 혁신을 추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최종소비자는 원했지만 1차 소비자(통신사)가 꺼려해 빠졌던 서비스가 갤럭시S4에는 대거 들어갔다. 대표적인 것인 모바일인터넷전화(m-VoIP)와 콘텐츠 백화점 ‘삼성허브’다. 안드로이드 생태계 일원이라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카드는 OS 상관없이 삼성전자 단말기간 콘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올쉐어프레임워크 기반 플랫폼과 사용자 오감을 이용해 스마트폰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환경(UI)이다. 눈동자 음성 손짓 등 일부를 지원하는 제조사는 있어도 종합적인 기능을 구현한 것은 갤럭시S4뿐이다. 삼성전자 스마트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디지털카메라 클라우드서버까지 아우르는 하드웨어 생태계를 아우르는 플랫폼 전략과 삼성전자만의 UI는 하드웨어 재구매를 전체 스마트 기기로 확대할 수 있고 타이젠 OS 등 다른 OS로 넘어가더라도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보험 역할도 한다.

◆헥사밴드LTE, 원가절감 위한 혁신=통신사 친화 정책에서 파생된 과다한 하드웨어 종류를 줄이기 위한 노력도 엿보인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3 이전까지 전체적인 브랜드는 갤럭시S 시리즈로 가져갔지만 각각 사양도 이름도 다른 스마트폰을 팔아왔다. 갤럭시S3부터 전 세계 동일 명칭을 썼지만 롱텀에볼루션(LTE) 모델은 국가별 통신사별 하드웨어적으로 다른 제품이었다. 갤럭시S4는 6개 롱텀에볼루션(LTE) 주파수를 수용하는 헥사밴드 LTE를 구현했다. 주파수분할LTE(FD-LTE)와 시분할LTE(TD-LTE) 등 2가지 LTE 기술 방식도 모두 지원한다. 사용자 입장에서 로밍이나 멀티캐리어(MC) 캐리어애그리게이션(CA) 등 보다 편한 LTE 라이프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삼성전자도 같은 제품을 여러 곳에 팔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삼성전자의 혁신은 성공할 수 있을까. 155여개국 327개 통신사가 유통하기로 결정한 점을 감안하면 통신사와 구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한 사업 구조를 만드는 첫 단추는 잘 꿴 셈이다. 하지만 브랜드 가치 상승과 고객 충성도 향상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이는 ‘갤럭시S5’가 나와야 검증이 가능한 문제다. 삼성전자의 이번 도전은 태블릿 판매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애플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 생태계는 제품끼리 판매를 견인하는 시너지 효과가 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윤상호 기자
crow@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