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전자전 달군 스마트시계, “싸고 쓸만하네!”
덕분에 홍콩전자전을 관람하다보면 어디에서 많이 본 듯한 제품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삼성전자나 애플의 스마트 기기 디자인을 비슷하게 베끼는 경우가 많다는 얘기다. ‘짝퉁’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유명 제품의 특징을 두루두루 가지고 있다.
2014 인터내셔널 CES의 주요 화두 가운데 하나는 웨어러블 기기다. 홍콩전자전도 스마트시계를 비롯해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를 만나볼 수 있다. 가장 많이 출품된 제품은 정사각형 형태의 스마트시계로 1~2인치 정도의 디스플레이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내장한 경우가 많다.
예컨대 YQT가 선보인 ‘EC720’ 스마트시계는 미디어텍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에 안드로이드 4.2 젤리빈, 1.54인치 액정표시장치(LCD)를 장착했다. 여기에 3세대(3G) 이동통신은 물론이고 블루투스, 200만 화소 카메라, 위성항법장치(GPS)까지 갖춰 저가형 스마트폰과 견줘도 크게 부족하지 않은 수준이다.
물론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소 조잡한 부분도 있다. 실제로는 커브드, 그러니까 기어 핏처럼 휘어져 있지 않지만 유연한 고무 소재의 밴드로 감싸 마치 구부러져 있는 듯한 느낌을 준 제품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메트로 UI’를 그대로 사용해 언뜻 보면 윈도 OS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제품가격은 천차만별이다. 주문량에 따라 얼마든지 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스마트시계라고 해서 특별한 기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이동거리 측정이나 이메일, 문자메시지 수신 등은 얼마든지 구현이 가능하다”며 “디자인이나 색상도 다양한 샘플 내에서 원하는 대로 주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홍콩=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AI로 뚫은 삼성·LG, 그룹사에 묶인 현대·포스코…IT서비스 4社 희비 갈렸다
2025-05-03 10:00:00[IT백과] AI 전환기 맞은 공공시장 대안,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
2025-05-03 09:23:02일반적인 악성코드와 다르다…BPF도어 감염 점검 방법은?
2025-05-03 08:00:00[OTT레이더] ‘알파고’ 이긴 이세돌 등장…두뇌 전쟁 ‘데블스플랜 시즌2’
2025-05-03 07:00:00“통신 속도 느린데, 요금 전부내야 할까?”...방통위, 분쟁조정 사례집 발간
2025-05-02 23: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