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

은행권 인수합병 후속조치로 2기 차세대 논의 본격화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기업은행과 경남은행이 오는 10월 차세대시스템 개통키로 하면서 은행권을 중심으로 한 제 2기 차세대 시스템 구축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우선 통합 산업은행으로 출범할 예정인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가 IT시스템 통합 후 바로 차세대시스템 구축에 들어가기로 했다. 외환은행과 하나은행 역시 물리적 통합에 걸맞는 IT통합을 검토하고 있다. 통합 이후에는 차세대시스템 구축이 검토되고 있다.

여기에 국민은행의 주전산시스템 교체 사업도 관심이다. 주전산기 교체 사업으로 내홍을 겪은 국민은행은 메인프레임과 유닉스 모두를 놓고 사업을 원점에서 검토하기로 했다. 하지만 기존 메인프레임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유닉스에 맞게 변환하는 ‘리호스팅’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면서 애플리케이션 전면 재개발 역시 검토 대상에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이 유닉스로 전환하더라도 사업 자체는 사실상 차세대시스템 구축 사업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에선 기업은행을 시작으로 새로운 차세대시스템 구축 사업이 은행권에서 본격 검토되면서 내년부터는 2기 차세대시스템 사업이 순차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권 IT시스템 운영연수를 고려하더라도 올해 말부터는 2기 차세대시스템에 대한 구축논의가 본격화 될 것으로 은행권과 IT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2000년대 초중반에 차세대시스템 환경으로 전환한 금융회사가 새로운 IT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2기 차세대’로 정의한다면 10여년이 지난 오는 2015년이 은행권 IT시스템 전환의 변곡점이 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은행권의 2기 차세대시스템 사업은 일거에 계정계와 정보계 시스템을 개발, 전환하는 기존의 ‘빅뱅’ 방식이 아니라 순차적 개발해 적용하는 접근법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기업은행이 5차에 걸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업 발주를 통해 점진적인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빅뱅 방식은 우리나라 은행 IT인프라 수준을 일거에 끌어 올리는데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의 서비스 제공 수준이 거의 동일해진 데에는 이러한 빅뱅 방식의 차세대시스템이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수천억원이 투입되는 사업규모과 성공에 대한 부담 탓에 시스템 개통 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등 빅뱅 방식의 부작용에 대한 금융사들의 피로감도 높아진 상태다. 이에 따라 기업은행과 같은 점진적 방식의 차세대시스템 구축이 2기 차세대의 주요 화두가 될 전망이다.

문제는 점진적 차세대 방식이라 하더라도 1년에서 2년 사이의 개발기간을 거쳐 시스템을 특정 기간에 일거에 개통하는 방법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빅뱅’ 방식을 완전히 탈피한 것은 아니란 점이다.

이에 대해 업계의 한 관계자는 “2기 차세대가 단위별 사업 발주를 통해 빅뱅의 부담을 줄이려고 하고 있지만 예전 유닉스 시스템을 처음 도입했을 때와 같이 사업간 연계와 문제 발생시 책임 소재 이슈가 불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금융권의 차세대시스템 개발 노하우가 ‘빅뱅’ 방식에 쌓여져 있는 만큼 이러한 개발 방식을 일거에 허물기란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결국 2기 차세대시스템은 최근 차세대시스템을 완료한 금융사들의 시스템 운영 평가가 나오고 이에 대한 장단점 분석이 선행돼야 구체적인 방법론이 수립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미 국내 및 글로벌 컨설팅 업체들이 2기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는 상황으로 2기 차세대의 형태가 어떻게 나타날지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