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

2기 차세대에도 ‘빅뱅’ 방식?… 금융권, 여전히 끝나지 않는 논쟁

박기록 기자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수백억원에서 많게는 수천억원이 투입되는 금융권의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가 소강상태에 접어들고 있다.

 

물론 은행(경남은행, 전북은행), 2금융권에서 여전히 차세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지만 금융권이나 IT업계의 관심은 아무래도 포스트 차세대(2기 차세대)로 쏠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다소 해묵은 논쟁거리 하나가 부활할 듯 보인다. 차세대시스템 구축 방법론인 빅뱅(Big Bang)방식이 그것이다. 

 

지난 10년간 국내 금융권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를 진행해오면서 차세대 프로제트를 순차적으로 오픈했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 빅뱅 방식을 따랐다.

 

빅뱅 방식이란 금융회사가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를 통해 특정 시점에서 시스템을 완전히 새것으로 일시에 탈바꿈 시키는 것을 말한다. 차세대시스템 개통 전과 개통 후, 마치 천지가 개벽한 것 처럼 완전히 시스템 환경이 달라진다.

 

그러나 그동안 금융권 내부에선 이같은 빅뱅 방식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면서 높게 평가하지는 않았다. 

 

예를 들면 은행권의 경우 일시에 방대한 전산시스템을 탈바꿈시켜야하는 부담감과 기술적 어려움, 그리고 여신, 수신, 외환, 대외계 등 여러 애플리케이션(업무) 시스템을 동시에  개발 일정 관리의 어려움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같은 빅뱅 방식은 차세대시스템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라는 지적이 많았었다.

 

그러면서 금융권은 만약 또 다시 차세대사업(2기 차세대)을 한다면 빅뱅 방식을 택하지 않고, 시급히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만을 위주로 선별적으로 개선에 나서는 '하이브리드' 또는 '단계적 구축 방식'을 채택할 것이라는 다짐을 잊지 않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빅뱅 방식'을 탈피하겠다던 과거의 다짐은 지켜지기는 어려울 듯 보인다. 


포스트 차세대(2기 차세대)에서도 결과적으로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진행상 빅뱅방식이 여전히 선호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은행이 현재 진행중인 포스트 차세대 프로젝트는 코어뱅킹/비즈니스 허브 구축을 담당하는 삼성SDS를 비롯해 여러 사업자가 나뉘어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는 있지만 결과적으로 이는 빅뱅 방식이다.

 

기업은행 뿐만 아니라 카드 등 현대카드 등 일부 2금융권 회사가 올해 진행하고 있는 2기 차세대 프로젝트에서도 기존 방식과 같이 향후 1년6개월~2년을 프로젝트 기간으로 정하고 거의 모든 시스템을 일시에 교체할 계획이다.

 

물론 아직 2기 차세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지않았기때문에 이같은 전망이 이른 지만, 이처럼 금융권이 빅뱅방식을 결과적으로 탈피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빅뱅 방식이 그나마 더 효율적”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경험해 보니 그렇다는 것이다. 이미 빅뱅 방식으로 차세대 프로젝트 개발 과정을 경험했던 금융권 관계자들로부터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카드사의 한 관계자는 "차세대시스템 오픈을 3~4개월을 앞두고는 이런 저런 현업에서의 요구가 쏟아지기 시작한다. 어쩔수 없이 뒤늦게 그것을 개발 요건에 넣기도 하지만 그 때부터 회사 내부적으로는 큰 위험성을 안게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예고했던 시스템 오픈 일정이 늦어지거나 당초 예상했던 애플리케이션의 완성도가 떨어질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생긴다. 그렇게되면 문제가 커진다"고 말했다.  

 

즉, 노후화 됐거나 개선이 필요한 특정 애플리케이션만을 선진화시키는 하이브리드(Hybride) 방식이 오히려 문걸어 잠그고 프로젝트를 끝내버리는 빅뱅 방식보다 이러한 위험성을 더 증가시킬 것이란 지적이다.


특히 최근 금융권에서는 스마트뱅킹, 온라인 채널 전략의 확대, 금융지주사와의 연계 등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관련 금융권에서는 업무 프로세스가 워낙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기때문에 이러한 과제들은 개별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진행해야 효율적이라는 주장이 있지만 오히려 이러한 업무일수록 시스템의 통합성과 연계성이 더 중요했졌기때문에 '빅뱅 방식'이 더 적합하다는 논리도 성립된다.

  

<박기록 기자>rock@ddaily.co.kr

박기록 기자
rock@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