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

은행권 수익성 악화, 스마트 금융에서 해답 나올까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저금리로 수익성이 악화된 은행들이 생존전략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IT와 결합된 스마트 금융 전략이 내년도에 어떻게 추진될지 관심이다.

핀테크 등 금융과 IT의 융합물결이 불어 닥치고 있지만 스마트폰 뱅킹, 스마트 브랜치 등 IT를 활용한 채널 혁신작업이 수익률과 확산면에서 한계에 부딪히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의 금리인하와 경기침체로 인해 은행들의 수익성 악화는 보다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최근 핀테크로 대표되는 IT기업의 은행시장 진출은 은행들에게 기회이자 위기로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뱅킹 등 그동안 IT를 중심으로 한 차별화된 서비스에 초점을 맞췄던 은행들은 스마트 금융이 정작 수익성 강화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딜레마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스마트폰 뱅킹 가입자가 4000만명을 넘어섰지만 기존 인터넷 뱅킹 사용인구가 그대로 넘어간 것으로 보면 된다”며 “오히려 인터넷 뱅킹으로 할 수 있었던 업무를 스마트폰 뱅킹을 통해 하면서 은행이 제공하는 상품은 축소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인터넷 뱅킹에서 스마트폰 뱅킹으로 금융고객의 이용 패턴이 변화하면서 오히려 은행이 제공할 수 있는 부대 서비스의 폭이 좁아졌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스마트폰 뱅킹 고객이 확산되고는 있지만 은행 수익면에서 이들 고객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

주로 자금이체와 조회에 스마트폰 뱅킹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은행의 수익이라 할 수 있는 이체 수수료가 은행 간 스마트폰 경쟁이 본격화됨에 따라 갈수록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이 수수료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대출업무가 스마트폰에선 일부 제한이 있다는 점도 고민이다.

이 때문에 은행들은 스마트폰 뱅킹에서도 인터넷 뱅킹과 동일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편을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뱅킹을 이용하는 금융고객의 성향이 은행들이 유도하는 바와는 다르다는 점이 문제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인터넷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머무르는 시간보다 모바일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작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모바일 뱅킹에서도 마찬가지로 특정 서비스를 고객에게 알리기 위한 절대시간이 부족하다. 스마트폰 뱅킹이 가지고 있는 한계”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업무를 스마트폰으로 지원하더라도 창구 업무를 통해 계약을 완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상담면에서도 아직은 대면채널의 깊이를 따라가지는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출 등 스마트폰 뱅킹에 비해 은행권이 수수료 등 수익을 얻기 위해선 지점, 즉 오프라인 채널의 다각화도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은행권이 오프라인 채널 혁신을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한 스마트 브랜치 사업이 결과적으로 좌초한 것도 은행권으로선 부담이다.

2011년부터 외국계 은행을 중심으로 선보였던 스마트 브랜치는 2012년 국내 은행이 경쟁적으로 도입하면서 파일럿 사업이 본격화됐지만 올해부터 스마트 브랜치 지점 확산이 사실상 멈춰서면서 실패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은행별로 전국적인 지점축소에 나서면서 신규 스마트 브랜치 입점도 어려워진 상황이다. 이에 대해 은행들은 기존 지점을 스마트화하는 방법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IT와 지점 행원들의 업무 접점을 찾아내 이를 창구업무에 구현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이를 지원하기 위한 IT기기 도입이 부담스럽다는 점이 은행들로선 고민거리다. 매년 은행들이 관리하는 금융관련 IT기기는 금융자동화기기(ATM)부터 창구업무를 위한 핀패드, 터치스크린 등 다양하다.

특히 창구업무의 페이퍼리스화가 진행되면서 은행들이 관리해야 하는 IT기기 등 자산도 많아지고 있다. 비용절감이 화두가 된 은행권에 있어서 무조건적인 자산 확대는 고민해야 할 문제라는 지적이다.

물론 은행권에서 IT와 금융상품, 그리고 내부 업무를 결합한 서비스 혁신이 일어나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다. 문제는 투자대비효과(ROI) 측면에서 은행들의 적극적인 의사결정이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미 은행들은 내년도 예산 수립 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IT 부서에서도 이러한 고민을 진행하고 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유지보수요율이 IT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신규 투자를 이끌어내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며 “현업에서 IT를 통한 서비스 개선사업이 이뤄질 경우 이에 대응하는 사업형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