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모바일 전자청약 확산, 태블릿PC 도입 전략은 제각각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보험업계에 태블릿PC를 활용한 전자청약시스템이 빠르게 정착되고 있는 가운데 전자청약의 핵심인 태블릿PC 채택을 놓고 보험사들의 전략이 각기 달라 주목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 삼성, 교보생명 등 보험업계 선발주자들이 주도적으로 모바일 전자청약시스템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보험업체간 모바일 전자청약시스템 자체는 대부분 대동소이 하지만 태블릿PC 채택의 경우 보험사마다 각기 다른 전략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삼성생명 FP경우 갤럭시노트와 같이 삼성전자의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한정돼 있다. 교보생명의 경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태블릿PC와 아이패드를 병행해 사용한다. 한화생명은 서비스 출시 당시부터 애플 아이패드 외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했다.
중견 보험사인 금호생명도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제품을 병행해 사용할 수 있게 했으며 현재 사업을 준비 중인 농협생명 등 다른 보험사들도 특정 태블릿PC만 사용 하던가 안드로이드, 애플 등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처럼 보험사들이 특정 태블릿PC외에는 전자청약을 사용할 수 없게 한 것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전자청약을 확대하고 있는 보험사들은 태블릿PC에서 보험설계사(FP)들이 보험 상품의 모든 것을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현재로선 각종 규제와 법률 탓에 제한된 영역에서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최근 규제완화에 정부와 금융당국이 적극 나서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러한 전자청약시스템에서 가장 근간이 되는 것은 태블릿PC다.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확대되면서 태블릿과 종전 스마트폰의 중간 사이즈를 의미하는 ‘패블릿(phablet)’의 확대가 이뤄지고 있지만 업무용으로는 10인치 이상의 태블릿PC 채택이 보편적이다.
IT서비스업체의 한 관계자는 “일반적인 청약에 쓰이는 종이용지가 A4크기”라며 “전자청약이기존의 종이청약과 이질감이 없어야 한다는 전제 때문에 A4 크기와 유사한 10인치 태블릿PC 사용이 일반화 돼 있다”고 전했다.
이는 보험업계에서 권고안으로 확정된 바 있기도 하다. 전자서명을 통한 보험계약체결 기준에는 전자문서의 화면크기를 4×9로 정했는데 이를 충족하는 사이즈가 10인치 태블릿PC다.
한편 시중에 나와 있는 태블릿PC는 실로 다양하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태블릿PC는 인치와 기능에 따라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제품이 나와 있고 애플의 아이패드의 경우도 10인치 모델은 아이패드 구형에서부터 최신 에어에 이르기까지 많은 제품이 나와 있다.
보험사마다 정책이 다르긴 하지만 FP들의 대부분이 개인사업자라는 점에서 각 보험사들의 FP들은 태블릿PC를 대부분 본인이 구매해 사용한다. 일종의 BYOD(Bring your own device)인데 물론 제약은 있다. 민감한 고객정보를 다루는 만큼 모바일디바이스관리(MDM) 적용과 활용 가능한 디바이스 선택은 보험사가 제한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FP들이 사용하게 되는 태블릿 PC는 보험사의 IT정책 및 보안계획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안드로이드 태블릿 도입을 검토하기도 했지만 보안성에선 시스템이 폐쇄적인 애플이 장점을 가진다고 보고 애플 아이패드만 지원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보험사 관계자는 “MDM 제품 수준이 높아져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차이는 의미가 없다고 본다”며 “FP들이 본인에게 익숙한 제품을 고를 수 있게 두가지 운영체제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험사들마다 태블릿PC 도입 정책이 다르긴 하지만 태블릿PC가 FP업무의 근간이 될 것이란 점에는 이견이 없는 상황이다. 피보험자와 계약자가 다른 경우 모바일 전자청약이 안되는 등 아직 제도적인 규제사항이 있긴 하지만 전자청약이 가지는 이점이 크기 때문에 점차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종이청약에 비해 태블릿PC가 가지는 장점이 워낙 크다보니 향후에는 전자청약으로 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청약과정에서 얻는 데이터를 핸들링 할 수 있는등 보험사 입장에서도 유리하고 FP들도 신속한 가입과 불완전판매와 같은 규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고 전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토종 OTT 살린다…정부, 'K-OTT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 수립
2024-12-19 15:14:39이해민 의원, 국가 R&D사업의 신속성 확보 위한 'R&D 심사법' 발의
2024-12-19 15:14:15’외국인 투자 규제’ 저촉 논란 MBK… 과거 아시아나 화물사업 인수전에서 발뺀 사례 재조명
2024-12-19 15:07:35퀄컴 파운데이션, 초록우산과 지역아동센터 STEM 교육 진행
2024-12-19 15:03:28우리은행, 수출입기업 위기극복에 5000억원 규모 금융지원
2024-12-19 15: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