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카카오 게임사업 살아날까…관건은 대형사와 협력

이대호
- 수수료 체계 변화…월매출 3000만원 이하 입점 수수료 0%
- 게임유료화 방식 다변화·직접 퍼블리싱·펀드 조성 등 다양한 변화 추구
- 대형 퍼블리셔 잡을 대책은 내놓지 못해…카카오 “미팅 중, 그들의 니즈맞출 것”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카카오(www.kakao.com 대표 임지훈)가 28일 서울 광화문 나인트리 컨벤션에서 게임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남궁훈 카카오 게임총괄부사장(CGO)<사진>이 직접 발표에 나섰다. 가장 눈에 띄는 발표로는 ‘플랫폼 수수료 체계 변화’다. 월매출 3000만원 이하 업체에겐 수수료 0%, 3000만원~1억원 이하는 14% 수수료를 받기로 했다. 월매출 1억원을 초과할 경우 지금 체계 그대로 21% 수수료를 받는다.

남궁훈 카카오 게임총괄부사장(CGO)
남궁훈 카카오 게임총괄부사장(CGO)
카카오가 최후의 보루로 삼았던 입점 수수료 체계에 변화를 주기로 결단을 내린 것은 지금 시기를 위기로 인식했다는 방증이다. 남궁 CGO는 “유저풀이 말랐다”, “유저들을 몰아주지 않는다” 등 개발사들의 불만을 언급하면서 변화 취지를 밝히기도 했다.

여기에 전제 조건은 있다. 카카오가 새롭게 출시할 광고 소프트웨어개발키트(SDK)를 게임에 적용해야 한다. 카카오는 이를 통해 게임 광고 수익을 끌어올려 개발사와 나누겠다는 복안을 가지고 있다. 기존 수수료 체계를 유지하고 싶은 개발사 또는 퍼블리셔는 SDK 적용 없이 게임 서비스도 가능하다.

카카오는 모바일게임 유료화 방식에도 변화를 준다. 부분유료화(무료 배포 후 아이템 판매 등으로 수익추구) 쏠림 현상을 해소, 다양한 수익모델을 안착시키겠다는 것이 목표다. 유료정액(유료 배포), 무료광고(무료 배포 후 광고로 수익 추구), 유료전환(무료 배포, 광고를 보고 싶지 않은 이용자만 유료 구매) 등 총 4가지 모델로 다양한 이용자들을 공략할 방침이다.

남궁 대표는 “게임하나 당 CPI(설치당 광고과금)가 1만2000원까지 간다고 하는데 게임 가격이 8800원이면 광고를 보고 다른 게임을 추가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유료게임을 무료로 다운로드받게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설명했다.

다만 카카오는 업계 내 대형 퍼블리셔의 탈카카오 현상을 막고 카카오 생태계로 끌어들이기 위한 뚜렷한 대책은 내놓지 못했다. 이에 대해 남궁 CGO는 “그들의 요구사항을 들어보고 유연하게 대처하겠다”며 “실질적인 미팅이 진행 중으로 대형 퍼블리셔의 불편한 사항을 듣고 그들의 니즈를 맞추면서 사업을 영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카카오가 발표한 광고플랫폼 전략은 대형 퍼블리셔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 부분은 남궁 CGO도 인정했다. 그는 “대형 퍼블리셔들이 들어와 광고플랫폼을 활용해 중견, 인디 개발사에 광고비를 집행해야 선순환 구조가 이뤄진다”며 “(대형 업체들이) TV에 지출하고 있는 광고비를 개발사들에게 지출할 수 있도록 구조를 짜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남궁 대표는 수수료 체계에 변화를 주면서 단기적으로 매출이 줄어들 우려에 대해선 “산업이 건강해지기 위해선 롱테일 법칙이 적용돼야 하다”며 “평균적으로 볼 때 카카오 인게임 매출 대비 광고 비중이 1% 수준에 머무르는데 광고 비중이 높은 게임은 매출 20%에 이르고 북미에선 평균 25%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고 답했다.

이어서 그는 “보다 많은 게임사들이 광고플랫폼에 입점하면 작은 개발사들이 수익내서 직원 1,2명이라고 뽑을 수 있는 구조로 변경되지 않을까 한다”고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앞으로 카카오는 게임 퍼블리셔의 역할도 겸한다. 물론 개별 계약된 업체에 한해서다. 퍼블리싱 수익분배는 100을 기준으로 카카오가 60을, 개발사가 40을 가져간다.

남궁 대표는 “카카오택시를 탈 때 돈처럼 사용할 수 있는 5000원 쿠폰을 드린다던가 다른 퍼블리셔들이 할 수 없는 그런 접근을 카카오는 할 수 있다”며 “카카오 공동체의 게임역량과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퍼블리싱과 마케팅을 진행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카카오는 국내 개발사 투자에도 적극 나설 계획을 밝혔다. 남궁 대표는 “국내 게임 투자가 적극적으로 되지 않는 상황인데 현재 국내 시장에 적극 대응하려고 300억원 규모로 펀드를 시작한다”며 “개발 초기단계나 중간 단계에도 라이선싱 접근을 하는 등 모든 공정에 있어서 투자에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이대호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