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칼럼

[취재수첩] '디지털 전문가' 찾는 금융권, 사람이 전부일까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금융권 디지털금융 사업 기획/개발을 통해 획기적으로 바꿔보고 싶은 분’

부산은행이 최근 진행하고 있는 디지털 분야 경력직 채용 공고 자격요건에 나온 내용이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분야 경력직을 채용하고 있는 우리은행도 ‘해당 분야의 소양을 바탕으로 은행의 비즈니스 모델과 디지털 전략을 발전시킬 인재’를 자격요건으로 내걸었다.

은행권의 디지털 인력 확충을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글로벌 투자회사인 골드만삭스가 금융회사가 아닌 IT기업으로서의 기치를 내걸은 이후 전체 인력의 4분의 1이 디지털 금융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은행들도 비슷한 길을 걷는 것 같다.

내부적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사업도 본격화되고 있다. KB국민은행이 ‘KB디지털 ACE 아카데미’를 추진하고 나서면서 다른 은행들도 이를 벤치마킹하고 나서고 있다.

급작스럽게 은행권의 관심이 ‘디지털’에 쏠리면서 은행의 모든 업무에는 디지털이 간섭하기 시작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새로 추진되는 사업보고서 제목에 ‘디지털’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화될 정도”라고 전하기도 했다.

은행권이 디지털에 대해 갖는 관심은 단순한 트랜드를 좇는 차원에서 머무르는 것은 아닌 듯 하다. 당장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 등 새로운 디지털 은행 출현이 은행권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

때문에 은행들은 서두르고 있다. 활발하게 외부인재를 끌어들이고 내부적으론 ‘디지털’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디지털은 은행의 미래라는 점은 간과해선 안 된다. 하지만 지금의 은행권 동향을 살펴보면 내부에 변화를 요구하는 ‘속도’와 기존 조직과의 ‘인식’은 거리감이 있는 듯 하다.

최근 만난 한 금융사 관계자는 “아직도 디지털과 (기존)조직은 거리감이 있다”고 전했다. 물론 “들으려고도 하지 았았던 전과 들으려고 하는 지금의 문화가 바뀐 것은 사실”이라고 한다. 하지만 아직도 서비스와 기술에 대해 실제 서비스와 접목을 얘기하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못한 것은 맞는 것 같다.
상대적 소외감도 극복해야 할 문제다. 갑작스런 디지털 인재에 대한 강조 분위기가 기존 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민해야 한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은행의 IT조직은 업무에 상응하는 평가와 대우를 내부로부터 받지 못했다.

디지털은 전사적으로 움직여야 성공한다. 특정 인재가 들어온다고 조직의 프로세스를 전부 다 바꿀 순 없다. 특히 디지털을 이용해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려고 한다면 비즈니스와 연관된 내부 조직부터 설득해 나가는 것이 우선이다.

카카오뱅크는 시스템 설계 당시부터 빅데이터와 보안 담당자가 붙어서 아키텍처를 구현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현재 은행도 그럴 수 있는가? 하드웨어는 그대로 두고 소프트웨어만 바뀐다고 해서 혁신이 일어날 수 있는가 고민해볼 문제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