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LCD를 둘러싼 업계의 시각차이
[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당장은 아니겠지만 액정표시장치(LCD)를 제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주력 디스플레이 자리로 올라서는 것은 시간문제다. 중소형에서는 이미 트렌드 전환이 이뤄졌고 대형의 경우 LG디스플레이가 대규모 투자를 발표하는 등 조금씩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가 대형 OLED에 참여하지 않고 있지만 앞날을 또 모르는 일이다.
이래저래 LCD는 찬밥신세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TV의 절대다수가 LCD 기반이건만 마치 미래가 정해진 것처럼 분위기가 서서히 가라앉았다.
이런 와중에 삼성디스플레이가 중국에서 ‘커브드 포럼’을 열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워낙 OLED로 잘 나가고 있지만 TV에서만큼은 아직까지 LCD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고 사업을 더 축소할 계획이 없다는 점에서 눈길이 간다. 지난 몇 년 동안 삼성디스플레이는 저세대 팹(Fab)을 정리하고 OLED 캐파(Capa·생산능력) 확대에 주력했지만 얼마 전 공식적으로 추가 전환은 없다고 선을 그었기 때문이다.
대형 OLED가 없는 삼성디스플레이에게 커브드는 전량 LCD를 의미한다. 흥미로운 점은 커브드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R&D)에 투자가 이뤄졌다는 사실이다. 단순히 패널을 구부리는 것이 아니라, 구부렸을 때 화면이 어떻게 보이고 몰입감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는 얘기다.
LG디스플레이는 어떨까. 최고경영자(CEO)인 한상범 부회장은 LCD TV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는 없다고 밝혔다. 캐파를 늘리지 않는다는 뜻. R&D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는 없었지만 일정부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M+, 나노셀과 같은 LCD 패널에 사용되는 기술이 세대를 거듭하며 발전될 수 있을지가 관전 포인트가 됐다.
과거 LG전자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DP) 수직계열화를 구축한 바 있다. 이후 PDP가 쇠락의 길을 걸으면서 관련 인력을 다른 부서로 재배치하거나 희망퇴직을 받았다. 삼성SDI도 PDP 사업을 정리하면서 일부 임직원을 신사업으로 이동시키고 신규라인에 배치, 관계사로 이전했었다. (물론 LCD가 PDP와 같은 길을 걷을 것 같지는 않다. 두 디스플레이는 기반 기술이 완전히 달랐지만, LCD는 OLED 시대에서도 써먹을 수 있는 백플레인이나 터치 관련 자원이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LCD에서 커브드로 집중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본다. 대형 디스플레이에서 커브드는 패널의 종류와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가정뿐 아니라 사이니지에서도 그렇다. R&D 투자도 많이 했다. 그러니 삼성전자가 판매하는 상당수의 TV가 커브드를 쓴다. 반대로 LG전자는 지난해부터 커브드 모델이 급격히 줄었다. 심지어 월페이퍼와 같은 프리미엄 OLED TV에서도 뺐다. 패널에서 소리가 나는 크리스털 사운드 OLED(CSO)도 평면이다.
결국 앞으로 LCD를 둘러싸고 삼성은 커브드와 퀀텀닷(QD·양자점)과 같은 후가공, LG는 패널 자체의 원가절감과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선보일 LCD TV를 기술적으로 바라보는 중요한 관점이고 각 업체가 어떤 선택을 할지가 무척 궁금해진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공정・투명한 '공매도'위한 가이드라인 최종안 마련… 금감원 "3월말까지 전산화 완성"
2025-01-19 14:20:28알뜰폰 업계, 갤럭시S25 가입자 사전유치 경쟁 ‘후끈’
2025-01-19 13:16:35주담대 채무불이행자 비율도 '상호금융'업권이 가장 높아…"종합 리스크관리강화 필요"
2025-01-19 12:00:00취임앞둔 트럼프, 가상화폐 정책 우선순위 발표 나오나… 비트코인 10만4천달러선 회복
2025-01-19 11:37:15‘오피셜 트럼프’ 밈코인(meme) 발행 소식… 시총 4위 솔라나 20% 가까이 폭등
2025-01-19 11:3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