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경력 10년의 블록체인 전문가?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최근 모 은행에서 블록체인 개발자를 뽑는다는 공고를 냈다. 자격요건에 블록체인 분야에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단서가 달렸다. 이에 달린 댓글이 화제가 됐다.
“블록체인 경력 10년을 가진 사람은 ‘나카모토 사토시’ 밖에 없는데...”라는 댓글이었다.
나카모토 사토시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가상화폐 ‘비트코인’을 처음 선보인 이른바 업계의 ‘원조’다. 원조 개발자가 블록체인을 말 한 것이 10년이 될까 말까인데 10년 경력을 가진 블록체인 개발자를 뽑겠다는 해당 은행을 비아냥거린 것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일부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전문가로 둔갑해 기업 등에 들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블록체인을 이해하고 실제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하는 수준에 이르기까지는 개발자들의 경우 최소 1-2년의 경험과 공부가 필요하다고 한다. 공부야 그렇다 쳐도 경험의 경우 우리나라에 실제 비즈니스 모델 단에서 블록체인이 구현된 경우는 한정적이어서 블록체인 개발자라고 부를 수 있는 이는 많지 않다. 이는 앞으로도 마찬가지로 보인다.
물론 블록체인과 관련해 개인적으로 공부를 한 개발자들이 있을수도 있고 그러한 이들이 기업이나 금융권에 들어간 것을 무어라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최소한 블록체인을 현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이라면 블록체인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공부해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이러한 일은 매년 반복돼왔다. 빅데이터가 화두가 되었을때 모든 기업들이 빅데이터 개발자를 구하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다. 이후 인공지능(AI)전문가에 이어 이번에는 블록체인 전문가다.
새로운 IT이슈가 화두가 될때마다 기업들은 새로운 인재 찾기에 나서고 있다. 어떻게든 인재는 구할 수 있겠지만 냉정하게 가치와 효용을 갖췄는지는 제대로 따져봐야 한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유권해석에 뒤집힌 우본 DaaS 사업…“기술·제도 간극 좁혀야”
2025-04-15 08:32:53MBK, 지오영 인수후 2746억 유상감자 실시… 왜 논란인가
2025-04-14 18:46:22이정헌 의원, 대선 앞두고 현장 소통…"과학기술인은 국정운영 동반자"
2025-04-14 18:28:20넷플릭스, 韓 매출 9000억원 육박, 티빙·웨이브는 '먹구름'
2025-04-14 18:12:20쏘카, 신차장기렌트 플랜 출시…"위약금·약정 주행거리 부담 없앤다"
2025-04-14 18:0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