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디지털전환' 포커스는 어디에?…부정거래 적발, 데이터 활용에 초점
플랫폼 영역의 경우 대부분의 회사들은 검토 단계지만, 선도 금융회사 일부는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트업 발굴 등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 면에선 대부분의 금융회사들이 생태계 확보를 위한 노력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사 별 역량 차이 뚜렷=한편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금융사 자체적인 역량 면에선 금융회사 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사 역량의 경우 인적자원 구성과 경영진의 의지가 중요한데 금융사 규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노력으로 금융사들이 집중하고 있는 부분은 ▲부정거래 적발, ▲모바일 앱 적용, ▲CEO의 혁신 드라이브 ▲디지털 전용 상품/서비스 개발, ▲데이터 관리 등이 꼽혔다. 반면 ▲써드파티 협업을 통한 생태계 확보 ▲오픈 플랫폼 도입의 경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커톤 수행, ▲개발자 커뮤니티 운영, ▲써드파티 협업 ▲뱅킹 비즈니스 모델 전환 ▲디지털 데이터 분석 등은 크게 신경쓰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대부분의 금융사들은 디지털 금융이 본격화되면 기존 금융회사들의 경쟁력은 약화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디지털화는 금융회사의 사업방식 변화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카드, 캐피탈, 증권회사들은 디지털 금융 영향력이 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디지털 금융은 고객 상호작용이 빈번한 금융업종에 파급 효과 클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보험, 증권, 카드회사들이 챌린저 뱅크와 핀테크의 위협을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고객의 자산관리 및 지불결제 영역이 먼저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인 면에 대해서도 조사됐다. 금융사들은 금융규제는 기존 금융회사를 보호하고 있다는 인식 수준이 높았다. 금융산업은 규제 안에서 진입장벽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다.
최근 금융당국이 추진하고 있는 금융규제 축소는 절대적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상품과 서비스, 고객 마케팅 등의 영역에서 금융회사들의 불만 수준이 높아 모든 금융 업종에서 규제 축소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았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美 관세 후폭풍… 수출입은행 “올 2분기 수출, 전년동기 대비 6~7% 감소” 전망
2025-05-02 11:36:39벼룩시장, 배우 정상훈과 함께한 '일자리 국민 공식' 광고 공개
2025-05-02 11:24:38AWS 1분기 성장 둔화…MS·구글과 격차 속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 부상
2025-05-02 11:23:28올해 RSAC 화두는? "AI 보안, 유행 아닌 기본 재료"
2025-05-02 11:23:14[대선 2025] 한덕수 출마 선언...개헌·통상·통합 내세운 ‘경제 대통령’ 자처
2025-05-02 11: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