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윤리, 인력 양성’… 구글 AI 컨퍼런스가 남긴 숙제
[디지털데일리 이형두기자] 지난 달 구글 I/O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공개된 구글 ‘듀플렉스’는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듀플렉스는 사용자를 대신해 전화를 걸어 대화를 나누는 기술이다. 식당이나 미용실 예약에도 활용할 수 있다. 사람처럼 ‘음’ ‘아하’ 같은 감탄사를 섞어 말하는 인공지능(AI)의 모습에 대중들은 놀라움과 동시에 소름끼친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인간과 너무 흡사하기 때문에 새로운 문제가 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통화하는 상대방을 기만하거나 교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처럼 수명 만들어야”… 정답 없는 AI 윤리 = 26일 구글코리아가 개최한 ‘AI위드구글2018’에서도 AI 윤리와 관련된 논의들이 이어졌다. 이날 플로어에서 김종호 카이스트 교수는 제프 딘 구글 AI 총괄<사진>에게 흥미로운 질문을 던졌다. ‘AI와 인간의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TPU(Tensor Processing Unit) 전력 공급을 30와트(W) 제한하는 것이 맞지 않겠냐’ ‘AI 알고리즘에 시간제한을 걸어 100년 후에는 인간의 사망처럼 킬 스위치를 작동하는 것이 어떻겠냐’ 등이다.
제프 딘 AI 총괄은 “구글 내에서도 AI를 어디에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고민이 많다”며 “저희가 AI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로 공개했기 때문에 어떤 용도로 사용 될지 통제할 수가 없어, 윤리적인 문제는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AI는 최근 무인항공기, 킬러로봇 등에 활용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윤리 문제가 더 크게 불거졌다. 구글이 미 국방부의 ‘메이븐 프로젝트’에 참여하자 내부 임직원 4000여명이 반대 서명에 참여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AI무기가 핵무기에 비견될 정도로 위험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카이스트 역시 최근 AI 무기 연구 문제로 세계 로봇학자들이 보이콧을 선언하는 등 소동이 있었다.
이에 구글은 지난 7일 직접적인 AI 살상 무기를 개발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AI 7대 원칙’을 발표했다. 제프 딘 구글 AI 총괄 역시 이 부분에 대해 거듭 강조했다. 핵심을 짚어보면 ▲사회적으로 유익할 것 ▲불공정한 편향을 만들어내거나 강화하지 않을 것 ▲안전성을 우선으로 설계할 것 ▲인간을 위해 책임을 다할 것 ▲개인정보를 보호할 것 등이다.
제프 딘 AI 총괄 역시 "회사로서 참여가 주저되는 무인무기 개발에는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원칙을 정했다“고 하면서도 ”그러나 국방이나 방위 등 군과 협력을 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정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뺏을지 모른다는 우려도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논쟁 중 하나다. 제프 딘 총괄은 “비행기 개발이 있었기에 파일럿이라는 직업이 탄생했다”며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면 사람들이 해오던 방식이 바뀔 수 밖에 없고, 이 같은 걱정이 나오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답했다.
◆한국, 미국보다 2년 뒤쳐져… AI 투자 시급 = 아직까지는 이런 우려가 ‘공포 마케팅’에 의해 과장된 것에 불과하며, 오히려 연구 인력이 부족한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하는 의견이 우세하다. 이날 황의종 카이스트 교수는 “전 세계 AI 관련 특허 7000여개 중 미국은 약 47%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은 3%에 불과하다”며 “한국은 미국에 비해 2년, 일본에 비해서도 1년 이상 뒤쳐져 있다”고 평가했다.
또 “카이스트에서도 AI프로젝트의 비중이 전체의 5%밖에 되지 않는다”며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AI 관련 하드웨어 시스템이 강세를 보이고 있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같이 발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존 리 구글코리아 대표는 “개발자 생태계 자체를 키우고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구글은 기업들이 클라우드와 AI를 통해 트랜스포메이션 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구글은 국내 AI 인재 양성과 저변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들을 소개했다. 프로그램은 ▲교육 프로그램 ▲AI/ML기반 클라우드 활용 교육 프로그램 ▲캠퍼스 서울 스타트업 프로그램 ▲AI/ML 연구 지원 프로그램 등 총 4가지로 구성돼 있다. 스터디 그룹이나 AI 개발 툴인 텐서플로 커뮤니티에서도 많은 정보와 자원을 얻을 수 있다.
존 리 대표는 “놀라운 것 중 하나는 한국의 텐서플로 커뮤니티 이용자가 3만5000명으로, 인구수 비례로 따지면 전 세계 국가 중 규모가 가장 크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대학에도 자금 지원 규모를 키워 연구 용역이 잘 진행되도록 출장비, 컨퍼런스 등을 지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형두 기자>dudu@ddaily.co.kr
[양종희 KB금융 회장 1년- 상] 실적 무난했지만 내부통제 문제 심각… 빛바랜 성적표
2024-11-15 15:55:09한싹, 올해 3분기 12억원대 손실…AI 투자·인콤 인수 영향
2024-11-15 15:44:00“금융권 책무구조도, 내부통제 위반 제재수단으로 인식 안돼”
2024-11-15 15:19:319월 국내은행 가계·기업대출 연체율 하락…"분기말 연체채권 정리규모 확대 때문"
2024-11-15 15: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