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아태 공공 총괄, “정부 인증이 중소·스타트업 기회 뺏으면 안 돼”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아마존웹서비스(AWS)는 한국의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받은 최초의 외국계 기업입니다. 한국의 높은 보안수준을 충족시켜야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당연히 데이터 민감성과 관련해 추가로 요구하는 규제가 있다면 지켜야죠. 하지만 이미 가용 한 공공 데이터나 센서 데이터 등과 관련해 한국의 중소기업, 스타트업이 정부에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은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25일 부산 ‘아마존-부산 클라우드 혁신센터(CIC)’에서 열린 미디어 브리핑에서 피터 무어 AWS 아태지역 공공부문 총괄<사진 가운데>은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클라우드 보안인증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지난 2016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인증제를 통해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을 허용하고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IaaS) 분야에선 공공기관을 위한 별도의 물리적인 인프라 구성 등 14개 부문 117개 통제항목을 평가하고 있다. 현재 IaaS 영역에선 KT와 네이버 비즈니스 플랫폼(NBP), NHN 등 국내 6개 기업이 인증을 받았다.
지난해 8월부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에도 시행되고 있다. 인증의 일부 항목 때문에 외국계 기업에는 장벽이 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문제는 인증을 받지 못한 외국계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자사 SW를 개발한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의 공공기관 공급이 어렵다는 점이다.
실제 CIC 멤버십 기업인 경성테크놀로지 대표는 이날 CIC에서 열린 데모데이에서 “국내 클라우드 기업만 클라우드 보안 인증을 받은 상황이어서 AWS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는 우리 같은 기업은 공공기관 공급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경성테크놀로지는 국공립어린이집 등 영유아시설에 특화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특히 AWS는 이날 부산시와 진행한 5년 간의 새로운 업무협약을 통해 스마트시티 분야 협력을 강조했다. 스타트업이나 개발자가 알맞은 스마트시티 관련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와 AI, 빅데이터 등 핵심 기술을 제공할 방침이다. 스마트시티도 공공의 한 영역이다. 과연 AWS 기반으로 개발·운영되는 스마트시티 관련 서비스의 공공기관 공급이 가능할까.
이에 대해 무어 총괄은 “한국 정부기관 대상으로 그들(중소·스타트업)이 솔루션이 가진 가치를 입증해야 해외진출이 쉽다”며 “이들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AWS이 제공하는 기술 혜택을 한국의 중소기업이 누려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한국기업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미 AWS의 기술을 통해 시카고나 LA, 뉴욕, 런던 등 다양한 곳의 스마트시티 솔루션이 개발한 사례가 많다”며 “전세계 각지의 CIC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성공사례를 공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벤 버틀러 AWS 클라우드 혁신센터 프로그램 글로벌 총괄도 “CIC 가운데 스마트시티를 주제로 하는 곳이 몇 곳 있는데, 많은 부분이 교통흐름이나 환경개선 등 현실적인 당면과제를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중 데이터를 활용해 경찰인력을 배치한 사례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AWS의 첫 CIC로 부산을 택한 이유에 대해선 “부산광역시의 적극적인 자세”때문이라고 답했다. 버틀러 총괄은 “부산지역의 많은 대학 졸업생들이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떠난다고 하는 얘기를 듣고, 그런 부분에서도 도움을 주고자 했다”며 “CIC를 통해 부산지역의 스타트업 발굴됐고, 이들은 클라우드와 같은 최신기술을 배워 스마트시티와 같은 실질적인 문제해결기회를 갖게 됐다”고 확신했다.
<부산=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인터뷰] 돈 되는 렌탈 데이터?...신상용 프리핀스 대표 “렌탈 창업부터 금융 솔루션까지 함께할 플랫폼”
2024-11-23 12:05:50행안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제도개선 착수…“공공SW 전반 변화해야”
2024-11-23 09:39:29주파수 재할당대가, 정부가 부르는게 값? “산정방식 검토 필요”
2024-11-22 18: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