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포켓몬고에서 아이언맨으로 진화하는 ‘혼합현실’(MR)...존재감 확
[디지털데일리 김소영기자] 지난 13일, ‘VR·AR, 언택트로 일상을 컨택트하다’를 주제로 ‘2020 서울 가상증강현실 박람회’를 찾았다.
메쎄이상과 코엑스 주최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이날 행사는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의 특징을 섞은 혼합현실(MR, Mixed Reality)의 존재감이 돋보인 행사였다. 다만 가격과 콘텐츠 경쟁력 등에 있어, 실감 기술 전반의 대중성은 여전히 아쉬웠다.
최근 정부는 디지털뉴딜 계획을 발표하면서 교육·관광·문화 등 디지털콘텐츠를 개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행사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문화체육관광부·산업통상자원부 등 다수 정부부처가 후원에 나섰다.
디스플레이 헤드셋(HMD)을 끼고 기구에 탑승하면 눈앞에 가상현실이 펼쳐지고, 온몸으로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형태였다. 이미 대중화된 VR 게임장의 어트랙션보다 콘텐츠 자체가 기발하진 않았다.
발길을 옮기자 곧 화려한 어트랙션도, 게임 화면도 없이 발길을 붙잡는 부스가 나타났다. 부스에선 영화 ‘아이언맨’의 한 장면처럼 눈앞에 3D 홀로그램을 보여주는 혼합현실(MR) 헤드셋을 선보이고 있었다.
◆ 가격도 ‘아이언맨’ 급...500만원 대 혼합현실(MR) 구현 장비에 눈길
MR은 ▲현실을 토대로 가상 정보를 더한 증강 현실(AR)과 ▲가상 환경에 현실 정보를 더한 증강 가상(AV)을 포함한 개념이다. 쉽게 말해 현실에 VR이 접목돼, 현실의 객체와 가상의 객체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장에선 ‘이건 좀 신기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해당 장비의 판매 파트너사라는 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사진 속 헤드셋은 오는 10월 중반 국내 출시될 예정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미 재작년 출시한 제품이지만 한국은 출시국에서 빠져있었다는 설명이다. 가격은 500만원 중반대다.
다들 같은 생각이었을까. 이날 한시간 씩 세 번에 걸쳐 진행된 체험 대기가 이미 꽉 차 있어 기자가 부스에 도착했을 땐 이미 접수가 마감됐다.
직접 체험 대신 헤드셋을 낀 체험자의 시야를 TV로 지켜볼 수 있었다. 체험자의 눈앞에 3D 홀로그램으로 지도나 정보창이 뜨는 모습이 보였다. 곧 체험자가 손으로 눈앞에 ‘취소’ 버튼을 누르자 정보창이 사라졌다.
부스 관계자는 이와 같은 기술로 향후 ▲서로 다른 국가의 산업체 간에 원격 가이드 ▲3D 모델링 작업을 대체할 새로운 산업 디자인 리뷰 방식이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실제로 산업 쪽의 문의 전화가 많이 있다”고 말했다.
◆ 낚시게임에선 '손맛'을, VR 공룡 체험에서 멀미 지옥을 맛보다
<김소영 기자>sorun@ddaily.co.kr
SKT, 신규가입 전산 중단...“유심보호는 로밍이용자 제외 내일 중 마무리”
2025-05-05 12:51:55“한국+일상+AI”...KT가 말하는 ‘K 인텔리전스’란?
2025-05-05 11:37:29[대선 2025] 美발 'R의 공포' 다가온다…외교, 새 정부 첫 과제로
2025-05-05 11:35:24‘망분리 예외’ 혁신금융서비스 분출… 금융권 ‘내부업무 AI 고도화’ 순항
2025-05-05 11:11:51"AI로 유출정보 채굴" 멀웨어 데이터 마이닝 '주의보'
2025-05-05 08: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