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나 칼럼

[취재수첩] 애플의 개인정보보호 정책, 진심일까 꼼수일까

이안나

- 애플 자체 앱 포함 모든 앱에 '일관성' 적용해 신뢰 확보해야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빅테크 기업 애플과 페이스북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원인은 애플이 올해 아이폰 등 단말기에 도입한 사생활 보호 정책이다. 애플리케이션(앱) 업체들은 이제 기기 이용자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주인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갈등 중심에는 ‘맞춤형 광고’가 있다. 그동안 페이스북 등 기업은 아이폰 이용자 승인 없이도 이용자 검색 기록 등 데이터를 이용해 나이·성별 등에 맞춘 광고를 진행할 수 있었다. 애플의 새 정책으로 사용자에게 사용 기록 수집 동의를 위한 팝업창을 띄우면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를 거부하게 된다. 광고가 매출 98%를 차지하는 페이스북이 반발하는 이유다.

애플은 이번 정책을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편으론 회사에 더 유리한 비즈니스모델을 갖추기 위한 속셈이라고도 해석한다. 맞춤형 광고가 힘들어진 앱들은 유료 전환을 할 것이고 사용자들이 이를 인앱 결제하면 애플에게도 수익이 돌아가기 때문이다. 이 와중 애플 자체 일부 앱들은 실상 동의 절차를 ‘면제’ 받도록 했다가 논란이 되자 삭제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이에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은 애플이 모든 애플리케이션(앱)을 동등하게 취급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여론은 애플에 유리하게 흘러가고 있다. 광고를 보고 싶지 않은 대부분의 이용자가 애플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개인정보가 ‘공공재’로 전락했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와도 최근 사용자들은 개인정보 수집 및 추적 행위에 대해 점점 더 민감해져 가고 있다. 아이폰의 경우 통화녹음 기능이 없고 한글파일이나 압축파일도 바로 풀고 여는 것이 불가능하다. 음악을 다운 받아도 아이폰에선 바로 재생이 되지 않는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들이 편의성을 포기하면서도 아이폰을 택하는 건 비단 ‘감성’ 뿐 아니라 보안 유지라는 이유도 있다.

애플은 이전부터 제품 차별성의 한 요인으로 ‘보안’을 강조해왔다. 국내외 사건 수사를 위해 애플에 수사 협조 요청을 했음에도 애플은 개인정보 보호 등 이유로 아이폰 잠금 해제를 거절했다. 최근에도 개인정보 보호를 강조한 60초 광고를 선보였다.

애플의 새로운 개인정보보호 정책이 공익적 명분에도 이를 의심하는 시각들을 잠재우기 위해선 무엇보다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는 게 우선이다. 중요한 건 일관성의 확보다. 애플의 플랫폼은 사용자들을 ‘추적’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예외적 발언들이 나와선 안 된다. 다른 속셈 없는 순수한 개인정보보호의 완성은 차별 없는 적용에서 시작된다.

<이안나 기자>anna@ddaily.co.kr

이안나
anna@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