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소비생활] 생활가전 ‘UV-C’ 살균 봇물...유의할 점은?
- 일부 살균기 효과 없거나 유해…보호장치 및 KC 인증 확인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코로나19로 인해 건강과 위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식기세척기나 공기청정기 등 가전 제품에 살균 기능을 더하는가 하면 휴대용 살균기가 대거 등장한 배경이다.
살균 방법으론 크게 가열식과 화학식, 자외선(UV) 살균으로 나뉜다. 가열식은 뜨거운 물로 젖병이나 유리병을 열탕 소독하던 모습을 생각하면 쉽다. 화학소독은 분무기 형식으로 주로 쓰인다. UV 살균은 전자기파를 이용해 공기나 물체표면, 물을 소독하는데 다른 두 방식에 비해 살균 과정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UV는 눈에 보이지 않는 파장의 영역이다. UV제품 중 전원이 켜졌을 때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동작 중’임을 알리기 위해 파란색 발광다이오드(LED)를 별도 장착했기 때문이다.
UV도 파장 영역에 따라 사용용도가 다르다. 소독 및 살균 용도로 주변에서 흔히 보이는 건 UV-C(200~280nm)다. UV-A(315~400nm)는 선탠 및 벌레 유인용, UV-B(280~315nm)는 피부질환, 치아미백 등에 쓰는 의료용이다.
UV-C는 전자기파로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포자 DNA와 RNA를 파괴한다. 공공장소에서 위생을 위해 이전부터 사용해왔다. 대중교통과 화장실, 병원은 물론 식품업계에선 운송용 벨트와 포장재 소독에 활용된다. 하수처리장에서도 정화를 위해 쓰인다. 아직까지 UV-C에 내성이 있는 미생물은 알려진 것이 없다. 즉 원리상으론 코로나19 바이러스까지 UV-C로 제거할 수 있다.
단 이는 원리상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UV-C 기능이 있다면 모두 바이러스를 완벽하게 제거한다고 말하기엔 무리가 있다. UV-C는 적당한 거리에서 충분한 방사선량과 시간이 있어야만 미생물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숨겨져 있거나 가려져 있는 물체 표면에 있는 미생물의 경우 소독이 되지 않는다.
특히 공기살균기 같은 경우 제한 된 공간에서 바이러스 제거 효과를 측정한 것과 실제 사용 환경은 차이가 있다. UV-C 방사선에 대한 미생물 저항은 상당히 다양한데 미생물이 있는 환경에 따라 필요한 방사선량이 달라지기도 한다. 가령 업체가 8평 규모 공간에서 99.99% 바이러스 살균을 검증했다 설명하더라도 각 가정의 구조와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실험 조건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거두기는 어렵다.
업체들마다 제품 생산과정에서 품질관리에 들이는 품 차이가 큰 이유도 있다. 시중 판매 중인 UV 살균기 중 일부는 효과가 없고 과장 광고를 하는 경우도 흔하다. 작년 12월 한국소비자원 실험 결과 일부 살균기는 살균 효과가 전혀 없고 인체에 해로울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UV 살균기에 UV-C 파장이 아닌 살균과 관련 없는 UV-A 파장이 방출되거나 자외선 방출 보호장치가 구비되지 않았다.
취임앞둔 트럼프, 가상화폐 정책 우선순위 발표 나오나… 비트코인 10만4천달러선 회복
2025-01-19 11:37:15‘오피셜 트럼프’ 밈코인(meme) 발행 소식… 시총 4위 솔라나 20% 가까이 폭등
2025-01-19 11:34:14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한국 경제 견고, 밸류업 일관되게 추진"… 투자자들에 서한
2025-01-19 10:20:58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베인캐피탈 최고경영진과 미팅…"국내 경제 펀더멘탈 굳건해"
2025-01-19 10:20:13김재관 KB국민카드 사장 “실행이 최고의 가치, 한 팀 같이 협업”… 2025년 상반기 경영전략회의
2025-01-19 10:1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