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5G①] 이전에 없던 새로운 5G의 등장…‘5G 특화망’
5G는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특성으로 개인을 위한 통신을 넘어 산업 환경 전체를 혁신하고 공공 서비스의 차원을 높일 수 있는 핵심적인 경제 인프라로 부상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디지털 뉴딜의 핵심 인프라로 타 산업과 융합되며,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을 본격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5G 특화망’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디지털데일리>는 5G 특화망의 개념과 의의, 정책 추진 현황, 활성화 방안 등을 조망해 본다. <편집자 주>
-스마트팩토리 등 5G 특화망 통한 산업별 혁신 기대
-독일, 일본, 영국 등 해외 5G 특화망 사례는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지난 2019년 4월, 우리나라는 미국의 버라이즌을 간발의 차로 제치고 세계 최초로 5세대(G) 이동통신 상용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5G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은 크고, 통신사들은 5G 네트워크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찾기에 여념이 없다.
이러한 와중에 올해 초부터 정부가 추진 중인 ‘5G 특화망’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5G 특화망은 다수 이용자가 토지나 건물, 공장 등 특정구역 단위로 5G 주파수를 공동 사용해 구축하는 통신망을 뜻한다.
이는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기존 이동통신사가 아닌 일반 기업이 필요에 따라 주파수를 할당 또는 지정받아 제한된 구역에 구축해 운영하는 소규모 네트워크다. 해당지역에서 도입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특화된 맞춤형 네트워크인 셈이다.
지난 3월 일본 오야마 공장에서 로컬5G 네트워크 운영을 개시한 일본 대표 IT기업 후지쯔는4.7㎓ 대역 SA 및 28㎓ 대역 NSA로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4.7㎓대역은 광범위한 제어가 필요한 ‘AGV 자율주행 시스템’에 도입했고, 28㎓대역은 대용량 이미지·영상의 고속 전송이 필요한 ‘AI 작업 이미지 검수 시스템’에 적용한 바 있다.
영국도 산업체의 특화망 구축, 실내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2019년 12월부터 3.8~4.2㎓ 대역을 산업용 사설망 대역으로 공급하기 시작했다. 2020년 12월 기준 BT, 퀵라인 등 13개 면허권자에 794개 면허를 발급한 상태다.
우리나라도 올해 1월 인터넷·제조 등 수요기업의 의견을 수렴해 지역(로컬) 5G 사업자가 5G 특화망 을 구축해 시장 경쟁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5G 특화망 정책방안’를 수립했다.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6월 5G 특화망용으로 28㎓ 대역과 4.7㎓ 대역의 주파수를 공급하는 내용의 ‘5G 특화망 주파수 공급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11월 24일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 신청 접수 결과, 현재 네이버클라우드가 신청하고 할당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 순익 급감 불구 ‘1천억 배당’ 논란… MBK가 세운 ‘덴티스트리’, 9백억 수령
2025-04-08 23:14:49우리금융 "美 상호관세 관련, 자금지원 총 10.2조원 투입"
2025-04-08 18:01:53키움증권 ‘전산 먹통’ 논란… 결국 다우기술로 불똥튀나
2025-04-08 17:31:34마이리얼트립, 지난해 매출 892억원…첫 연간 흑자 달성
2025-04-08 17:25:56[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