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

[신년기획/웹 3.0②] “웹 3.0은 마케팅 용어”…머스크‧잭 도시의 비판, 극복할 수

박현영

2022년 블록체인‧가상자산 산업의 최대 화두는 ‘웹 3.0’입니다. 차세대 웹 환경을 의미하던 ‘웹 3.0’은 블록체인 기술을 만나 ‘탈중앙화 웹’으로 통용되고 있는데요. ‘웹 3.0’ 서비스를 표방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데일리>는 총 5회에 걸친 신년기획을 통해 웹 3.0 시대를 조명합니다. 웹3.0의 개념, 웹 3.0이 일으킬 혁신과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해 다룰 예정이며 웹 3.0 구현을 위한 필수 구성 요소로 대체불가능한 토큰(NFT),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등도 함께 다룹니다.<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웹 3.0이 올해 가상자산‧블록체인 업계 주요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혁신이 아닌 마케팅 용어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줄곧 제기되고 있다. 웹 3.0이 이 같은 비판을 넘어 혁신의 키워드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기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웹 3.0’ 표방…“마케팅용” 지적 나와

웹 3.0이란 데이터가 분산화돼 저장되고,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을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차세대 웹 환경을 의미한다. 본래 개인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웹 환경을 의미했으나, 블록체인 기술의 부상과 맞물리면서 현재는 ‘탈중앙화 웹’을 의미하는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

데이터 주권이 개인에게 있으므로 제공한 데이터나 제작한 콘텐츠의 경제적 가치도 개인이 누리는 게 웹 3.0의 핵심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데이터는 분산화된 저장공간에 저장되며, 데이터의 경제적 가치는 블록체인 상 데이터를 통해 증명할 수 있다. 웹 3.0 구현에 블록체인 기술이 쓰이는 이유다.

이런 웹 3.0이 최근 주요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웹 3.0 프로젝트’를 표방하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들이 다수 등장하는 추세다. 블록체인이 지닌 ‘분산화’의 특징을 활용해 사용자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서비스들이다.

이는 예전부터 블록체인 서비스들이 내세워 온 사업 방식이기도 하다. 다만 이전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강점을 내세워 이런 서비스를 홍보했다면, 현재는 ‘웹 3.0’ 키워드에 맞춰 홍보한다는 점이 달라졌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금융(De-fi, 디파이) 서비스라고 했다면 최근에는 웹 3.0 금융 서비스라고 하는 식이다. 요즘 최대 화두인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을 활용한 서비스도 ‘웹 3.0 콘텐츠’ 서비스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웹 3.0이 마케팅 용어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라는 점에서 이전과 크게 달라진 게 없으나, 웹 3.0 부상에 맞춰 용어만을 강조한다는 지적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아담 백 블록스트림 CEO 등 유명인사들이 이 같은 비판을 제기하면서 “웹 3.0은 마케팅용”이라는 의견은 더욱 보편화됐다.

머스크 CEO는 “웹3 본 적 있는 사람? 나는 찾을 수가 없다”고 쓴 트윗을 올리며 웹 3.0의 실체를 부정했다. 또 아담 백 CEO는 “웹 3.0은 알트코인을 위한 마케팅 유행어”라고 꼬집었다.

◆“개인에게 이익을” 근본 정신에 초점 맞춰야

웹 3.0 프로젝트들이 이 같은 지적을 극복하려면 웹 3.0이 등장한 근본적인 배경에 더욱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단순히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했다고 해서 웹 3.0이 아니라, 데이터 주권을 온전히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사용자가 자신이 제공한 콘텐츠의 경제적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서비스를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이익을 극대화해야 웹 3.0 키워드에 부합한다는 얘기다.

이에 웹 3.0을 내세운 프로젝트들은 사용자가 프로젝트 운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거버넌스토큰을 발행하고, 토큰 보유자가 경영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개인 사용자에게 서비스에 기여한 만큼 토큰 보상을 주는 것은 물론이다.

또 경제적 가치를 누리는 개인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도 웹 3.0 프로젝트들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물론 이런 경우에도 프로젝트가 발행한 토큰이 개인 사용자보다 벤처캐피탈(VC)에 더 많이 돌아간다는 지적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잭 도시 트위터 창업자도 이 같은 문제점을 지적했다.

잭 도시 창업자는 “VC들이 웹 3.0을 소유하고 있다”며 웹 3.0 프로젝트들도 결국 지분 투자한 VC들 때문에 중앙화된 성격을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개인 사용자에게 주는 토큰 보상이 지분 투자한 VC들에게도 지급되기 때문에 탈중앙성이 떨어질 것이란 비판이다.

다만 VC에게 지급되는 토큰이 더 많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에 대한 보상이 전혀 없던 웹 2.0 프로젝트에 비하면 훨씬 발전했다는 반박도 잇따르고 있다.

페이스북 출신이자 최근 링컨네트워크에 합류한 안토니오 가르시아 마르티네즈 (Antonio García Martínez)도 이 같은 근거로 잭 도시 창업자를 비판한 바 있다. 그는 “웹2(트위터)로 돈을 번 사람이 웹3를 비난하는 것은 페이스북, 아마존, 구글로 돈을 벌어놓고 하나도 돌려주지 않은 채 ‘그들은 악마야’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밝혔다.

박현영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