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다. 국내외 제조사는 증설 목표를 상향 조정하는 등 수요 대응에 나선 상태다.
현재 업계는 한·중·일 ‘삼국지’ 체제다. 유럽과 미국 업체도 합세했으나 아직 초기 단계다. 최근 행보를 보면 한국과 중국 기업이 가장 적극적이다. 3대 시장으로 꼽히는 중국 유럽 미국 등에 앞다퉈 신공장을 설립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한국과 CATL BYD CALB 등 중국 차이는 내수 비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보다는 해외 거점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중국은 CATL 독일 공장 등을 제외하면 대다수 투자가 자국에 쏠려있다.
고객사 인근에 협력사가 포진하는 완성차업게 특성상 전기차도 마찬가지다. 한국은 외국, 중국은 국내 기업과 거래가 많다는 의미다. 이는 장기적으로 한국 배터리 3사에 유리한 지점이다.
이미 중국 내부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GAC 그룹이 CATL에서 CALB로 메인 협력사를 변경하는 등 이른바 ‘탈(脫) CATL’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정 업체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중국 전기차 업체의 멀티 벤더 구축은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
이를 만회할 대책은 해외 공장을 세우고 현지 고객사를 확보하는 것이다. 하지만 단기간에 이뤄질 문제가 아니다. 전기차 제조사는 신뢰성을 가장 중시해 상당 기간 레퍼런스가 쌓이지 않으면 배터리 납품조차 쉽지 않다.
중국 배터리 기업이 국외 생산기지를 마련하는 데도 난항이 예상된다. 타국에서 공장을 세우고 관리한다는 자체가 난도 높은 미션이다. 현지 직원 채용 및 운영, 수율(생산품 중 양품 비율) 개선 등이 까다롭다.
반면 국내 3사는 폴란드 헝가리 미국 등에서 매를 먼저 맞았다. 가령 동유럽 공장에서 인력이 탈주하는 등 현지 인원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국내와 똑같은 방식을 적용해도 일부 해외 공장에서 수율이 떨어지는 이슈에 직면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시점 해외 공장 가동률은 긍정적인 수준까지 올라온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과 미국 분쟁도 한국에게는 기회 요인이다. 미국 전기차 시장이 유럽과 중국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으나 중국 기업이 공략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바이든 행정부는 반도체에 이어 배터리 산업에서도 제재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