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대선]① ICT 공약 집중 정리 : ‘디지털경제 선도’ 이재명 후보
20대 대통령 선거가 오는 3월9일 열린다. 이에 앞서 주요 대선후보들 모두 대한민국의 비전을 담은 공약들을 하나 둘 발표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미래 기반이 될 정보기술(IT) 산업에 대한 공약이다. 각 후보들이 내세우는 IT 분야 공약들은 천차만별로 갈라지고 있다. 이 가운데서는 다소 현실성이 부족해보이는 공약들도, 후보들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 논란의 공약들도 있다. 이에 디지털데일리는 ‘IT로 바라보는 대선’이라는 의미를 담아 [IT’s대선] 기획을 선보인다. 각 후보들의 주요 IT 공약을 면밀히 분석하고, 총 여섯 가지의 소주제 속에서 산업별 화두를 제시한다. <편집자 주>
◆융합기술 활성화·규제 완화에 방점…거버넌스 개편도
이 후보의 ICT 공약은 크게 9대 중점과제, 33대 추진방안, 77대 세부 내용으로 구성됐다. 한국을 세계 디지털 경제의 게임체인저로 만들겠다는 내용이 골자다.
9대 중점과제에는 ▲인공지능(AI) 활성화 ▲전 산업분야에서의 디지털 혁신 ▲디지털 경제 필수 핵심기술 지속 개발 및 투자 ▲가상융합기술 활성화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 ▲디지털 미래 인재 100만명 양성 ▲디지털 포용 국가 구현 ▲ICT 랜드마크 건립 ▲디지털 경제 선도 전략기구 운영 등이 포함됐다.
과제는 서로 다른 기술을 결합한 융합기술 활성화에 방점을 찍고 있다. AI와 사물인터넷(IoT), 소프트웨어(SW), 클라우드 간 융합을 위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연구개발(R&D)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런 융합기술을 제조·농식품·의료·비즈니스 등 특화 분야에 적용해 디지털 혁신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융합기술 개발 및 관련사업 육성을 위해 인프라를 구축하고 규제를 완화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통합데이터포털을 설치해 AI 기술 구현의 핵심요소인 데이터에 대한 사업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의료·금융 데이터를 둘러싼 규제를 대폭 완화한다. 또 AI분야 연구원의 창업활동 지원을 위한 AI 스핀오프(Spinoff) 제도를 활성화한다.
SW분야에선 SW융합클러스터를 통한 거점 특화 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SW융합클러스터는 SW기술 관련 기업이 집결돼 있는 지역을 일컫는다. 논란이 되고 있는 SW사업 대가 산정 기준 등 공공SW발주제도를 개선하고 상용SW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강화한다. 또 SW융합분야에 대한 규제샌드박스 적용을 확대해 혁신기업의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디지털경제 필수 핵심기술로 ▲4차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 기술(5G·6G) ▲모바일엣지컴퓨팅(MEC) ▲블록체인 기술 ▲양자정보통신기술 ▲3D프린팅 기술 등을 지정하고 해당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 강화를 약속했다.
거버넌스 개편에 대한 공약도 담겼다. 디지털 대전환과 디지털 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전략기구를 설치·운영한다. 기술혁신이 초래하는 신·구산업간 갈등 해소를 위한 대통령 직속 규제 갈등 조정 기구도 창설한다. 아울러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 위원장을 국가 최고데이터책임자(CDO)로 임명, 전 공공기관에 최고정보관리책임자(CIO)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국민 절반 이상 “구글에 정밀지도 반출 반대”…안보·주권 우려가 가장 커
2025-04-22 19:54:05"이젠 기업이 선택받는 시대…초핵심 인재 확보가 성패 가른다"(종합)
2025-04-22 17:51:03[DD퇴근길] "11일만에 매출 100억"…넷마블, 'RF온라인'으로 재도약 시동
2025-04-22 17:09:02LG전자, 도요타 ‘우수 공급사’ 선정…"전장공급 역량 인정"
2025-04-22 1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