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 갈등②] 원자재 쇼크 불가피…반도체·배터리, 더 비싸진다
- 네온·니켈 등 핵심 소재 조달 차질 후폭풍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개시하면서 산업계 전반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국내 핵심 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배터리도 마찬가지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소재 공급망 붕괴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단기적 영향은 미미하다던 업체들은 촉각을 기울이는 중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갈등으로 반도체·배터리 주요 원자재 조달이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러시아의 침공 시발점으로 우크라이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추진이 꼽힌다. 이에 24일(현지시각) 긴급회의를 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우크라이나에 전투 병력을 파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장기전 양상으로 흘러갈 분위기다.
당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은 두 나라에서 사들이는 원료 재고 비축, 공급처 다변화 등을 이유로 ‘당장 영향은 없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도 상황이 길어지면 장담할 수 없다는 단서를 달았다.
한국무역협회 분석 결과 지난해 수입한 네온 중 28.3%가 우크라이나(23%)와 러시아(5.3%)산이다. 네온은 반도체 회로 패턴을 그리는 노광 공정에 활용된다. 같은 기간 중국 비중(66.6%)이 가장 큰 만큼 긴박한 문제는 아니지만 약 30% 물량 수급이 원활해지지 않으면 비용 부담이 올라가게 된다.
반도체 식각 공정에서 쓰이는 크립톤의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의존도는 각각 30.7%, 17.5%로 총 48.2%다. 절반 정도를 양국에서 가져오기 때문에 공급망이 흔들리면 생산라인 정상 가동이 어려워진다. 이외 크세논(20% 내외) 등도 우크라이나에서 적지 않은 양을 매입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배터리 분야도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두 나라에서 니켈 알루미늄 리튬 망간 등 주요 소재가 나오는 탓이다. 러시아의 경우 전 세계 니켈 10%, 알루미늄 13%를 담당하고 있다. 망간 22%는 우크라이나에 매장돼 있다. 이미 원료 가격이 폭등한 가운데 추가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자원에 대한 피해도 예상된다. 나프타(25.3%) 원유(24.6%) 천연가스(9.9%) 등 부문에서 러시아 수입 비중이 70% 이상으로 추산된다. 다른 국가에서 대체품을 들여오더라도 공장 가동 비용 등 간접적 피해가 불가피하다.
[인터뷰] 돈 되는 렌탈 데이터?...신상용 프리핀스 대표 “렌탈 창업부터 금융 솔루션까지 함께할 플랫폼”
2024-11-23 12:05:50행안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제도개선 착수…“공공SW 전반 변화해야”
2024-11-23 09:39:29주파수 재할당대가, 정부가 부르는게 값? “산정방식 검토 필요”
2024-11-22 18: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