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국감2022] 데이터센터 건물용도가 '공장'?…방통은 26곳 불과

백지영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민간기업 등에서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의 건물용도 중 '방통통신'인 곳은 26곳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업무용과 교육연구용, 공장 등인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하영제 의원(국민의힘)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KDCC) 자료에 의하면, 민간이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 88곳의 용도는 천차만별로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이전 53개에 불과하던 데이터센터는 2012년 114개에서 2020년엔 156곳으로 늘어났다. 이 가운데 민간에서 운영중인 데이터센터는 88곳, 정부 및 공공 영역에서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는 68곳이다.

하지만 민간 데이터센터 88곳의 건물용도 중 방송통신인 곳은 26곳에 불과하고, 업무용이 25곳, 교육연구가 10곳, 공장이 7곳, 자료없음이 20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카카오 먹통 사태의 원인인 화재가 발생한 SK C&C의 판교 데이터센터의 건물 용도는 업무용이고, 네이버가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춘천 데이터센터의 용도는 교육연구이다.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는 카카오, 네이버 외에도 다수의 SK 계열사가 입주해 있다.

또, 국내 IT서비스업체가 운영하고 있는 주요 데이터센터는 대부분이 건물용도를 공장으로 등록했다. LG CNS 가산 IT센터 및 부산클라우드데이터센터, 삼성SDS 구미ICT, LG유플러스 가산IDC센터 및 평촌메가센터, 롯데정보통신 가산 U-Bit센터, 현대오토에버 광주데이터센터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IDC의 연면적에 대한 자료없음이 18곳, 건물 규모에 대한 자료없음이 19곳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 SDS 춘천ICT금융센터, 현대자동차 의왕데이터센터, KDB 금융그룹 여의도센터 등은 건물 규모, 연면적, 건물용도 등 모든 자료를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에 제공하지 않았다.

한편 데이터센터의 건축물 용도는 2018년 9월 건축법 시행령 이전은 데이터센터는 국토교통부 및 관련 지자체로부터 업무시설, 방송통신시설, 교육연구시설, 공장 등 다양한 용도로 허가받았으나, 시행령 개정 이후 데이터센터는 방송통신시설 유형에 포함되어 허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백지영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