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전 삼성 떠난 국회의원도 부른다"…中, 韓 반도체 인력사냥 '현재진행형'
- 반도체 키우기 나선 美도 영입 혈안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중국의 반도체 인재 영입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국과 대만 등 제조 노하우를 갖춘 국가가 표적이다. 최근에는 자국 반도체 육성에 총력을 기울이는 미국으로도 기술자 유출이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전·현직 임직원은 물론 소재·장비 업체 인원에게까지 스카우트 제의를 지속해오고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중국발 인력 흡수는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공공연하게 알려진 현재도 노골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미국 제재가 심해질수록 사태가 더 심각해지는 분위기”라고 지적했다.
회사를 떠난 지 수년이 지난 이들에게도 러브콜을 보내는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7일 양향자 국민의힘 반도체산업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중국 반도체 쪽에서 언제까지 정치할 거냐면서 영입 제안이 온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에서 약 30년을 근무하다 지난 2016년 정계 진출한 바 있다.
매년 우리나라 주요 반도체 업체에서 퇴직하는 사람 수가 1000명을 웃도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 기업들의 단속이 강해지자 중국에서는 은퇴한 이들을 데려가는 데 집중한다는 후문이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충분히 더 일할 수 있으나 내부 사정 등으로 자리가 없어지는 임원들이 있다. 중국(또는 미국) 경쟁사에서 부르면 안 갈 이유가 있겠나”라고 말했다.
정부 차원에서 퇴직 인원을 특허청 등에서 근무하도록 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수요 대비 채용 인원이 적어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 위원장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특허청의 연 200명 규모 인력 증원 요청에 대해 67명만 승인했다.
업계에서는 규제보다는 보상으로 반도체 인재를 사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강제가 아닌 자발적으로 국내에 남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익명을 요구한 반도체 학과 교수는 “실력에 따른 대우가 확실해야 한다. 같은 삼성전자 출신이어도 보유한 역량, 연구 성과 등에서 큰 차이가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도 무조건 비슷한 인센티브를 주는 것보다 차등 대우가 인재 관리에 더 효율적일 것”이라고 피력했다.
최근에는 미국발 엑소더스도 심화하는 흐름이다. 바이든 행정부 들어 반도체 생태계 확장에 대한 의지가 강해진데다 연이은 공장 증설로 늘어난 일자리, 정부 차원의 이민법 개정 추진 등으로 국내 인원을 유혹하는 요소가 늘어나기도 했다.
상대적으로 중국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준다는 점도 무시 못할 요소로 꼽힌다. 3~5배 높은 연봉을 받고 중국 기업에 취직하더라도 3년 안에 자리가 없어진다는 소문이 파다한 영향이다.
한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연봉 인상을 통한 인재 확보 및 유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이 일제히 임금 수준을 높이면서 경쟁 아닌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SK하이닉스에 이어 삼성전자가 반도체 부문 신입사원 초봉을 올린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현장] 티빙·웨이브 합병 두고 CEO별 온도차…"주주 동의 필요 vs 無 관여"
2024-12-19 17:13:57[DD퇴근길] 갈길 먼 AI 기본법…바디프렌드, '가구' 선보인 이유는
2024-12-19 16:52:18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SKT·네이버 CTO 만난 이유는
2024-12-19 16:35:25네이버페이, 대안신용평가 모델 앞세워 협력사 확장 ‘가속’...한투저축은행과 맞손
2024-12-19 16:0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