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한파·추격 '이중고'…삼성·SK, 초격차 기술 '승부수' [IT클로즈업]
- 전·후공정 동시 개선…똑똑한 메모리, 가성비 메모리 등장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메모리 부진이 길어지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글로벌 조사기관 가트너는 내년 메모리 시장 규모는 올해 대비 16.2%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 기간 D램과 낸드플래시의 매출은 각각 742억달러, 594억달러로 전년대비 18.0%와 13.7% 감소할 전망이다.
미국 마이크론, 일본 키옥시아, 중국 YMTC 등의 추격도 거세다. 특히 마이크론은 차세대 제품을 가장 먼저 내놓고 YMTC는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등 국내 메모리 기업을 위협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지난 3분기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합산 점유율은 63.8%로 1분기(73.8%), 2분기(68.9%)에 이어 재차 하락했다. 이에 지난달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은 84억5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9.8% 축소했다.
위기와 우려 속 국내 양대산맥이 택한 방법은 기술력 강화다. 압도적인 실력을 갖춰 경쟁사가 쫓아오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의지다.
지난 9월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 경계현 사장은 “최근 들어 메모리 기술 차이가 줄어든 건 사실”이라면서 “예전보다 연구개발(R&D) 투자가 적었던 것 같다. 인력, 개발 등에 자원을 더 투입해서 격차를 다시 벌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음5G 현황下] 확산 한계치 도달?...“DX본격화 되면, 수요 급증” 전망도
2025-04-04 19:46:29법원, 방통위의 KBS 신임감사 집행정지 신청 ‘기각’
2025-04-04 19:41:00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