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P2E 불가” 재차 확인한 게임사…해외사업 확장 속도
[디지털데일리 오병훈 기자] 연일 국내 플레이투언(Play-to-Earn, 이하 P2E) 게임사 패소 소식이 전해지고 있는 가운데, P2E 사업을 추진하던 게임사들이 글로벌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에서 P2E 게임이 설 자리를 잃어버린 상황에서, 글로벌 사업 흥행으로 P2E 게임 가치 및 가능성을 증명해 보이겠다는 전략이다.
1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위메이드·네오위즈·컴투스홀딩스 등 국내 게임사들은 신작 P2E 게임을 출시하거나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사업 투자금을 유치하는 등 사업 확장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국내에서 P2E 게임은 사실상 서비스 금지 판정을 받았다. 사법부가 연달아 국내 P2E 게임 서비스에 대한 ‘불허’ 취지 판결을 내렸기 때문이다. 서울행정법원은 최근 국내 P2E 게임 ‘파이브스타즈 포클레이튼’ ‘무한돌파삼국지리버스’에 대한 게임물관리위원회의 등급분류 취소처분이 합당하다는 판결을 내렸다.
두 게임 모두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대체불가능한 토큰(Non fungible Token, 이하 NFT)이나 코인 등 가상자산을 지급한 것이 문제였다. 재판부는 가상자산이 재산상 가치가 있어 법률상 ‘경품’에 해당된다고 보고, 게임 보상으로 경품을 지급하는 것은 게임산업법 제28조 3호에서 금지하고 있는 ‘경품 지급 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국내에서 가상자산에 해당하는 게임 재화나 아이템을 지급하는 행위 자체가 금지된 셈이다. 게임사들은 일찌감치 국내 대신 해외로 눈을 돌려 P2E 생태계 기반 마련에 나선 바 있다. 여기에 더해 재판부가 P2E 게임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보이자, 국내 서비스 미련을 버리고 온전히 글로벌 사업 확장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1분기 역대급 실적에도, 4대 금융 오히려 더 궁핍해진 살림… 왜?
2025-04-28 06:08:28“해킹 피해 전부 보상”...과기정통부, SKT와 고객 피해 방지대책 협의
2025-04-27 19:37:29SKT “해킹피해 발생시 100%책임…유심보호서비스 믿어달라”
2025-04-27 19:30:40[대선 2025] 이재명, 대선후보로 선출…“AI 중심 시대·진짜 대한민국 시작”
2025-04-27 18:49:04'유심보호서비스'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등장…정부, 2차피해 주의 권고
2025-04-27 17:3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