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GPT가 촉발한 AI 일상화, 정부가 그리는 초거대AI 강국의 모습은? [IT클로즈업]

백지영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필두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고도화하겠다는 장밋빛 청사진을 내놨다. 오픈AI의 ‘챗GPT’가 촉발한 초거대AI 산업의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올해만 3901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챗GPT’는 생성형AI 기술이 적용된 초거대 언어모델로 현존하는 모델 중 인간의 자연어와 가장 가깝게 대답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인 챗GPT 돌풍은 AI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높은 효용성으로 증명됐고, 누구나 쉽게 AI를 활용하는 ‘AI 일상화’를 촉발했다는 평가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챗GPT 이용자 수는 22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비단 오픈AI 뿐 아니라 구글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같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압도적 컴퓨팅 자원과 대규모 자본 등을 바탕으로 초거대AI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한 속도전을 펼치고 있다.

국내기업 역시 GPT-3 등장 이후, 대기업을 중심으로 초거대AI 개발 경쟁에 본격 참여하면서 가시적 성과 창출을 시작했다. 네이버의 ‘클로바’를 비롯해 LG의 ‘엑사원’ 카카오의 ‘KoGPT’, SK텔레콤 ‘에이닷’, KT ‘믿음’ 등이 대표적이다.

또, 중소·스타트업은 초거대 AI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해 특화영역 데이터를 추가 학습한 ‘전문 AI 서비스’를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작문·콘텐츠창작 플랫폼인 ‘뤼튼’과 사진답변 등을 제공하는 업스테이지의 AI챗봇 ‘아숙업’(AskUp) 등이 등장했다.

이에 정부는 그동안 축적한 AI 산업기반과 국내 초거대AI 플랫폼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승부해 성과를 창출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내다봤다.

최근 발표된 정부의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에 따르면, 당연한 얘기지만 우리가 우세한 한국어 기반 초거대AI 모델·서비스를 개발하고,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비영어권 시장을 집중 공략할 방침이다.

오픈AI의 GPT–3는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다수 언어를 학습하고 한국어는 일부에 불과하나, 우리나라는 한국어 중심으로 학습한다. 네이버의 한국어 학습비중은 97%에 달한다.

의료, 법률, 의료 등 국내가 강점을 갖고 있는 전문영역 AI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출시하고 글로벌 레퍼런스를 확보해 초거대AI를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구체적으로는 ▲초거대AI 개발·고도화를 지원하는 기술·산업 인프라 확충 ▲민간・공공 초거대 AI 융합 등 초거대 AI 혁신 생태계 조성 ▲범국가 AI 혁신 제도·문화 정착 등 3가지 추진 전략을 통해 그간 확보한 AI 정책 성과 위에 초거대AI 경쟁력 강화과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과제를 발굴한다.

우선 올해부터는 초거대AI 개발에 필요한 양질의 텍스트 데이터 보강한다. 15만권 책 분량의 분야별 특화 데이터 200종을 구축한다. 2023년엔 34종 구축이 계획돼 있다. 한국어를 중심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확보하되, 동남아, 중동 등 비영어권 데이터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과기정통부 측은 “현재의 AI 학습용 데이터 사업은 라벨링 데이터 구축 중심이지만, 올해부터는 초거대AI 사전학습에 필요한 텍스트(비라벨링) 데이터 구축을 신설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 측면에서도 지난해부터 2026년까지 2655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인 딥러닝 개선 기술개발과 함께 내년부터는 초거대AI의 한계 돌파를 위한 연구개발(R&D)도 새롭게 추진할 방침이다.

또 AI의 학습능력, 소통능력 등을 강화하는 기초연구과 함께 초거대AI에서 부각된 최신정보 미반영, 거짓 답변 등 한계를 돌파할 기술을 개발한다.

인프라 측면에선 올해부터 국산 AI반도체 기반의 고성능·저전력 K-클라우드를 초거대 AI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핵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을 추진한다. 중소기업·대학 등에 초거대 AI용 컴퓨팅자원 확대도 지원한다.

두 번째 전략인 초거대 AI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선 법률, 의료, 심리상담, 문화·예술, 학술·연구 등 민간 전문영역에 초거대 AI를 접목해 전문가의 업무를 보조하는 ‘초거대 AI 5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내년부터 추진한다.

AI를 접목한 공공・행정 혁신에도 나선다. 과기정통부와 해안부는 내부업무외 민원대응 효율화, 특허청은 초거대AI 특허검색 등 초거대 AI 공공 선도과제를 올해부터 시작한다. 민간 차원의 투자, 신 서비스 창출 등 디지털 기업의 협력 강화를 위한 ‘초거대AI 협의회’를 운영한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초거대AI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을 종합지원하고, 메타버스에서 초거대AI를 지능형 비서로 시각화하는 프로젝트는 내년부터 시작한다. 초거대AI 전문인재 양성 과 활용역량 교육을 보강하고 일반국민 100만명을 대상으로 AI 역량 교육을 실시한다.

이밖에 범국가 AI 혁신 제도・문화 정착를 위해 학업을 위한 챗GPT 허용 여부, 챗GPT 활용과정에서 보안사항・개인정보 유출 위험성과 같이 초거대AI 확산에 따라 야기되는 교육·보안 등 사회적 이슈 논의와 대응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교육 분야 AI 윤리원칙’ 보완, 행안부는 ‘공무원 대상 초거대AI 공공부문 활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기업이 개발한 초거대AI 서비스에 대해 위험요인·성능을 공신력 있는 제3의 기관을 통해 평가도 추진할 계획이다.
백지영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