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픈랜 혁신]③ K-네트워크 전략은…오픈랜 상용화 촉진

강소현 기자

[디지털데일리 강소현 기자] 정부 통신3사와 글로벌 네트워크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 ‘오픈랜’(OpenRAN·개방형무선접속망) 생태계 활성화에 시동을 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연내 ‘오픈랜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고 오픈랜 장비 산업의 성장 생태계를 본격 조성한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별도의 준비위원회를 두고 ‘오픈랜 얼라이언스’ 출범을 준비해왔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얼라이언스에는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와 삼성전자·LG전자 등 장비 제조사가 참여하며, 내달 출범식이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오픈랜은 무선접속망(RAN)을 구축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통신장비 간 연결에 필요한 인터페이스(API) 등 소프트웨어 요소를 하나의 통일된 기준으로 규정,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5G 기지국은 무선신호처리부(RU·Radio Unit)와 분산장치(DU·Distributed Unit), 중앙장치(CU·entralized Unit) 등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되는데, 기존에는 이 장비들이 모두 동일 회사 제품이어야만 상호 신호연결이 가능했다.

예컨대 화웨이의 RU와 DU는 서로 호환되지만, 화웨이의 RU와 삼성전자의 DU 간 상호 교신은 불가했다. 통신장비 간 연결에 필요한 API가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이에 통신사는 운영의 용이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1~2개사의 통신장비 만을 이용, 특정 통신장비에 종속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특히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이 특정 기업이 독점하는 형태로 변질될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오픈랜은 이에 대응하고자 도입됐다.

통신사의 입장에선, API의 개방화로 하나의 장비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제조사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유연하게 선택해 무선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중소 장비 제조사는 네트워크 장비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현재 해외 국가 중에선 미국이 오픈랜을 구성하는 표준 개발에 가장 적극적이다. 2010년부터 중국기업의 통신장비 시장 잠식이 본격화되면서 장기적으로 글로벌 통신 생태계에서 미국의 경쟁력 상실 우려 역시 높아졌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와 통신3사 역시 이런 흐름에 발맞춰 관련 표준 및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중·소 네트워크 장비 업체를 집중 육성해 현재 5개에 불과한 글로벌 강소기업을 2030년 20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픈랜의 기능과 성능을 실험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통신3사와 공동으로 ‘장비 간 상호운용성 실증행사’도 매년 개최하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오픈랜이 상용화되면 장비 라인업이 확대돼 고객이 원하는 장비를 적재적소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가상화 기지국에 오픈랜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기존 오픈랜 장비보다 전력소모를 줄이고 기지국 용량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강소현 기자
ksh@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