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방송

11개 대학 총장 만난 이종호 장관, “학생 인건비 문제 해결할 것”

백지영 기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과 정부가 추진 중인 R&D 제도혁신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대학 연구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충남대, 포항공대, 한양대, KAIST, UNIST, DGIST, GIST 등 11개 총장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 과기정통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과 정부가 추진 중인 R&D 제도혁신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대학 연구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충남대, 포항공대, 한양대, KAIST, UNIST, DGIST, GIST 등 11개 총장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 과기정통부]

[디지털데일리 백지영 기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5일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에 따른 학생 인건비 문제에 대해 주무 부처 장관으로서 책임지고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연구중심대학 총장들을 만나 ”R&D 예산 삭감에 따른 피해가 학생연구자나 신진연구자들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살펴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과기정통부가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과 정부가 추진 중인 R&D 제도혁신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대학 연구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충남대, 포항공대, 한양대, KAIST, UNIST, DGIST, GIST 등 11개 총장이 참석했다.

지난 6월28일 윤석열 대통령이 그간의 R&D 관행을 ‘이권 카르텔’로 지목한 이후 발표된 2024년 정부R&D 예산안은 올해 31조1000억원에서 대비 16.6% 감소한 25조9000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이로 인해 연구비가 줄어들며 이와 연계된 학생연구원과 박사후연구원(포닥) 등의 신진 연구자의 인건비가 줄고 권고사직 등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이라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이와 관련해 4대 과기원과 포스텍,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학생들과 대학원생이 최근 연구비 삭감 반대 성명을 내기도 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과 정부가 추진 중인 R&D 제도혁신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대학 연구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충남대, 포항공대, 한양대, KAIST, UNIST, DGIST, GIST 등 11개 총장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 과기정통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과 정부가 추진 중인 R&D 제도혁신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대학 연구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충남대, 포항공대, 한양대, KAIST, UNIST, DGIST, GIST 등 11개 총장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 과기정통부]

이 장관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R&D 예산이 감소하면서 과학기술계에서 느끼는 여러 우려와 걱정이 있겠으나 선도형 R&D로 나아가는 불가피한 진통으로 이해해 달라”며 “성공적인 R&D 구조개혁을 통해 혁신적 R&D를 중심으로 R&D 예산도 다시 늘려갈 수 있도록 적극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총장들은 R&D 예산 삭감에 대한 연구자들의 우려를 전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 국가 R&D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홍림 서울대 총장은 “기술패권 경쟁시대에 대비한 전략기술의 발전은 중요하며, 이는 기초연구의 안정적 기반 위에서 가능하므로 전략기술과 기초연구의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 R&D 정책은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또한 실효성 있는 국제공동연구를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톱다운 방식과 아울러 연구자 간 네트워크를 통한 바톰업 방식과의 병행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은 “국가 긴축 재정 정책에 따라 연구비가 축소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라며 “다만 연구자 처우개선 등 인센티브를 통해 학생들과 신진연구자들이 학업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정감 있는 환경을 갖게 해주는 한편 이번 기회에 비효율을 걷어내고 효율화하는 과정을 R&D 혁신의 계기로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외에 참석한 다수의 총장들은 최근 정부가 R&D 혁신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수월성·도전성 중심의 연구 강화, 신진 연구자 지원확대, 글로벌 공동연구 강화 등의 추진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와 함께 내년도 R&D 예산 감축에 따라 현장에서 우려하고 있는 학생 인건비 확보 문제에 대선 현재 정부에서 마련 중인 기초연구사업에 대한 학생인건비 지출비율 상향 권고 및 학생 인건비 풀링제 적용 대상 확대 필요성이 제안됐다.

풀링제는 국가 R&D 과제의 인건비를 연구책임자별로 통합 관리해 학생연구원이 과제에 참여하지 않아도 인건비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제도다.

외국의 우수한 연구자·연구기관과 글로벌 공동연구를 내실 있게 수행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지적재산권 귀속 및 연구비 관리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조속히 마련하는 등 제도정비가 필요하다는 논의도 이뤄졌다.

이 장관은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연구비 예산에서 학생 인건비 부분을 상향하는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무슨 방법이 됐든 학생들의 학업이나 연구에 문제가 없게 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정부와 여당이 R&D 예산을 일부 증액하기 위해 협의하고 있다는 최근 보도와 관련해 이 장관은 "이미 정부의 손을 떠난 문제"라며 선을 그었다.

백지영 기자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