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네이버 어벤저스] ‘AI 검색’한다면서, 왜 ‘디자인 시스템’부터 만들었을까?

최민지 기자

국민 포털로 출발한 네이버가 다양한 플랫폼과 서비스들로 영역을 대폭 확장하고 있다. 이용자 경험을 위한 체질 개선뿐만 아니라, 중소상공인(SME) 및 창작자들과 이용자들을 연결해 디지털 비즈니스 시너지를 도모하는 데 골몰하는 모습이다. 이용자가 보는 앞단의 변화가 이 정도라면, 개발 뒷단에선 보다 과감하고 치열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에 디지털데일리는 네이버를 움직이는 기술 리더들을 마블 캐릭터에 빗대 ‘네이버 어벤저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들의 연속 인터뷰를 통해 국내 최대 인터넷 기업의 속 깊은 고민과 핵심 경쟁력의 원천을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네이버 서치크리에이티브X 이지현 리더, 김재엽 책임리더, 오선민 리더, 에어서치 펜더(AiRSearch Fender) 김정기 리더. [ⓒ 네이버]

[디지털데일리 최민지 기자] 네이버가 통합검색을 개편하며 인공지능(AI) 검색의 발판을 마련했다. <지난 기사 참조 [네이버 어벤저스] “뭔지 모르겠지만 편해졌네” 통합검색에 AI 스며들다>

이번 통합검색 개편은 사용자 관심사를 파악해 스마트블록으로 맞춤형 결과를 제공하는 AI 기반 검색 ‘에어서치(AiRSEARCH)’를 바탕으로, 이르면 이번달 말 통합검색에 적용될 생성형AI 검색 서비스 ‘큐(Cue:)’ 사용성을 고려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 검색은 스마트블록부터 생성형AI까지 연결된 사용자환경(UI) 철학을 정립하고, 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해 사용성을 개선했다. 이는 부서 간 긴밀한 협업의 결과물이며, 디자인 중심으로 유연하고 확장성을 갖추는 시스템의 변화다. AI 검색의 길을 향하는 네이버에게 필수적인 과정이었다.

관련해 <디지털데일리>는 네이버 서치CIC ▲서치크리에이티브X 김재엽 책임리더 ▲이지현 리더 ▲오선민 리더, ▲에어서치 펜더(AiRSearch Fender) 김정기 리더와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김재엽 책임리더는 “처음엔 네이버 검색은 컬렉션 구조에서 지난해부터 스마트블록으로 변화했다. 의도 단위로 쪼개서 원하는 걸 빨리 볼 수 있게끔 했다”며 “여기에 더해 생성형AI가 들어오면서 원하는 걸 바로 줄 수 있게 됐다. 이제는 큐:로 인해 UI‧이용자경험(UX)도 같이 변화해야 했고, 이를 하나의 흐름으로 보고 하나의 경험으로 느껴지도록 개선 작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통합검색 개편을 위해 네이버 디자이너와 개발자들이 뭉쳤다. 실무진부터 리더까지 올해 적극적인 협업을 꾀했다.

이들은 지금까지는 없었던 표준화 디자인 원칙을 정립하고, 일관성과 확장성을 기반으로 설계했다. 컴포넌트 작업 후 사용자에 노출 때 쉽게 조립하고 변화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기 위해 이들은 함께 손발을 맞췄다. 지난해말부터 논의해 올해 검색개편을 겨냥해 본격적으로 이들이 구축한 ‘디자인 시스템’은 디자인이라는 관점에서 공통의 규칙을 만드는 업무 프로세서 방향점이다.

김정기 리더는 “검색에 대한 기조와 구조가 바뀌다보니, 예전 방식으로 진행했을 때 생산성, 확장성, 변경 부분의 추적 등에서 어려움이 있었다”며 “변화된 디자인에 맞춰 시스템도 따라가야 한다는 관점으로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에는 디자인이 완성되면 이를 전달받은 후, 단계별 프로세서를 밟아야 했다. 문제를 바꾸려면 다시 첫 단계부터 가야 했다”며 “디자인 시스템을 통해 비효율적인 부분과, 방향성, 산출물 등이 좋아지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에어서치 펜더(AiRSearch Fender) 김정기 리더. [ⓒ 네이버]

디자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플루이드 UI’ 가이드라인은 텍스트, 컬러, 이미지 등 기본 요소들을 새롭게 정의했다. 새로 정립한 기본 요소들은 더 큰 단위의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정보를 탐색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해 버튼, 메뉴, 필터 등 다양한 컴포넌트를 사용한다. 이러한 컴포넌트 동작방식은 공통의 언어로 디자인됐다. 일관적이고, 손쉬운면서, 의견 수용과 서비스 개선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작업이다.

또, 네이버는 디자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펜더(Fender)’라는 새로운 개발 플랫폼을 적용했다. 이는 디자인 요소를 다양하게 조립해 검색 결과를 만드는 개발 플랫폼이다. 이것들의 결과물이 이번 통합검색 개편이다. 상단 내 탐색비율과 체류시간 증가뿐 아니라, 콘텐츠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가독성이 개선되니, 검색 품질과 만족도도 향상했다.

김정기 리더는 “어떤 사용자인지는 몰라도, 어떤 UI가 많이 노출되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는 수집하고 있다. 추후 어떤 UI, 기능, 패턴을 더 선호하는지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최적화된 UX를 담고 있는 UI 기능을 빠르게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것”이라고 부연했다.

네이버는 검색의 진화를 예고하고 있다. 생성형AI 검색 시대에 대응해 큐:를 등장시켰고, 별도 서비스로 이용하지 않아도 PC 및 모바일 검색을 통해 인공지능 검색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지현 리더는 “AI를 통해 세밀화된 답변을 받아야 하는데, 무거운 무게로는 움직이기 어렵다. 모듈화와 함께 유기적으로 움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개편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오선민 리더는 “새로운 길을 개척하기 시작한 과제였다. 화면에 콘텐츠가 노출되기까지 일련의 모든 과정 자체가 시스템화됐다”며 “디자인 시스템 구축은 만들어놓은 재료들을 잘 조립해, 어느 영역 어떤 콘텐츠를 가장 많이 강조해 노출하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마련해놓은 과정”이라고 전했다.

최민지 기자
cmj@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