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충권 “MS·테무·나이키 등 11개 해외 기업, 국내 대리인제도 악용”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이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 방송법 개정안 등을 상정하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7.16. [ⓒ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국내에서 개인정보를 활용해 사업하는 글로벌 기업들 중 11개 기업에 국내 대리인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내대리인 제도는 국내 이용자 권리보호와 사업자의 책임성 강화를 위해 지난 2018년부터 시행됐다. 하지만 해외 기업은 여전히 페이퍼컴퍼니로 의심받는 법인을 대리인으로 지정하는 등 국내 이용자 보호의무를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충권 의원(국민의힘)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정보통신망법상 국내대리인 지정현황에 따르면, 대리인 지정 의무가 있는 39개 글로벌 기업 중 26개 기업이 자사의 국내 법인이 아닌 법무법인 또는 별도 법인을 국내대리인으로 지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나이키, 테무, 줌 등 11개 기업은 ‘제너럴에이전트’라는 별도 법인을 국내대리인으로 지정했다. 방통위 현장점검 결과 해당 법인 근무자는 3명이고, 그마저도 상시근무자는 단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11개 기업 국내대리인인 제너럴에이전트는 각 사 개인정보 민원처리와 피해구제 업무를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 이메일만 안내하는 등 형식적으로 수행해 방통위로부터 개선권고까지 받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시정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박 의원은 “글로벌 기업들이 실체가 없는 법인을 대리인으로 지정해 문제가 생겨도 모기업들은 아무런 책임 없이 법망을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시스템이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국내법인을 대리인으로 의무 지정하는 법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세종텔레콤, 알뜰폰 사업 정리한다…수익성 악화에 EB 상환기일 임박
2024-12-19 13:44:16법원, 2인체제 방통위 제동…"권태선 방문진 이사장 해임 취소하라"
2024-12-19 13:40:46'영업통' 행장에 앉히고, 영업본부장 2배 늘리고… 은행권, 치열한 격전 예고
2024-12-19 13:36:27농협은행, 조건부 전세대출·비대면 신용대출 판매 재개…가계대출 빗장 일부 풀려
2024-12-19 13:05:58'데이터 문제해결은행' 성과는?…19일 '데이터 비즈 어워드' 개최
2024-12-19 11:5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