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이 한글날인데, 문해력 부족 심각…Z세대 61%, ‘가결’ 뜻 모른다
[디지털데일리 왕진화 기자]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인 Z세대 61%가 ‘가결’의 뜻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는 이 같은 문해력 부족의 가장 큰 원인으로 ‘독서 부족 및 영상 매체 이용의 증가’를 꼽았다.
최근 캐치는 Z세대 1344명을 대상으로 문해력에 관해 조사했다. 그 결과 본인이 ‘문해력이 높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보통이다’가 34%, ‘부족하다’는 8%로 집계됐다.
또한, 캐치가 Z세대를 대상으로 간단한 문해력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문제나 안건을 합당하다고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가결’의 뜻을 맞춘 인원은 39%에 불과했다.
‘이지적이다’, ‘북침’, ‘무운’, ‘결재’, ‘가결’, ‘모집인원: 0명’의 총 6가지 문항의 정답을 모두 맞힌 비중은 28%였다.
조사에서 Z세대 일부는 이 같은 문해력 부족의 원인으로 ‘독서 등 장문 독해 경험 부족(4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영상 매체 시청 증가’ 28% ▲‘훑어 읽기, 요약 읽기 습관’ 15%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단문 텍스트 사용 증가’ 14% 등으로 나타났다.
캐치가 조사한 결과 Z세대의 연간 독서량도 평균 수치인 ‘7권(2023년 통계청 조사)’ 대비 적었다. 1년에 ‘1~3권’ 읽는다고 답한 비중이 35%, ‘3~5권’이 22%로 나타났고, ‘한 권도 읽지 않는다’라고 답한 비중도 무려 17%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5~10권’이 14%, ‘10권 이상’은 12%였다.
반대로 영상 매체의 경우에는 하루 2시간에서 3시간(29%) 시청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서 ‘1~2시간’이 28%, ‘1시간 이하’가 19%로 집계됐고, ‘3~4시간(15%)’, ‘4시간 초과(9%)’ 순으로 나타났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부문장은 “Z세대를 포함한 잘파(Zalpha)세대는 영상 콘텐츠 노출이 가장 많은 세대다”라며 “문해력 증진을 위해서는 평소 시간을 내서 책 읽기나 장문 읽기를 생활화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캐치는 구직자들에게 대기업, 중견, 상위 10% 중소 기업정보와 채용공고를 제공하며 효율적인 취업 준비를 돕고 있다. 또한, 기업에는 상위권 신입, 경력 풀을 통해 퀄리티 높은 인재 채용을 지원하고 있다.
“통신 속도 느린데, 요금 전부내야 할까?”...방통위, 분쟁조정 사례집 발간
2025-05-02 23:06:07엠넷 플러스, 오리지널 '숨바꼭질' 앱 가입 기여 1위…엔시티 위시 다음은?
2025-05-02 23:05:49"유심이 입고됐습니다" SKT 해킹사고 악용한 '스미싱 문자' 주의보
2025-05-02 17:27:57LG유플러스 임직원들, ‘천원의 사랑’ 기금으로 시각장애인 지원
2025-05-02 17:2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