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179명 사망·2명 생존

이상일 기자
29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파손된 기체 후미 수색 등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파손된 기체 후미 수색 등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2024년 12월 29일 오전 9시 3분,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착륙 도중 활주로 외벽과 충돌하면서 화재가 발생해 탑승객 181명 중 179명이 숨지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부상자 2명은 승무원으로,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사고 여객기는 태국 방콕을 출발해 8시 30분 무안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착륙 직전 랜딩기어 고장으로 동체착륙을 시도하다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사고 전 관제탑은 조류 충돌 위험을 경고했으며, 사고기 기장은 구조 요청 신호인 '메이데이'를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항공기 기종은 B737-800으로,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등 총 181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승객 중 173명은 한국인, 2명은 태국인이었다. 화재 진압은 신고 43분 만인 오전 9시 46분에 완료되었으나, 기체는 후미를 제외한 대부분이 전소됐다.

이번 참사는 국내 항공사고 사상 최악의 인명 피해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해외 사고까지 포함하면 1983년 대한항공 격추 사건(269명 사망)과 1997년 대한항공 괌 추락 사건(225명 사망)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다.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는 장기간 소요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조류 충돌, 랜딩기어 결함, 조종 미숙 등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사고 당시 착륙 활주로 변경 및 동체착륙 결정 과정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조종사들의 비행 경력은 기장 6823시간, 부기장 1650시간으로 충분한 경험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고 기종에 대한 운항 경력도 기장 6096시간, 부기장 1339시간으로 확인되었다. 국토부는 활주로 길이가 사고 원인으로 지목될 가능성에 대해 "B737-800 기종은 1,500m 이상 활주로에도 착륙이 가능하다"며 부정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밤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관련 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밤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관련 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사고 수습을 위해 무안에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전라남도와 광주시는 합동 분향소를 설치하고, 유가족 지원을 위해 전담 공무원을 배치했다. 이와 함께 숙소 제공 및 심리 상담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피해자 명단에는 광주·전남 지역민과 공무원, 교육청 교직원 등이 포함되었다. 한 가족 9명은 팔순 잔치를 위해 태국을 방문했다가 참변을 당했으며, 3대 가족이 함께 희생된 사례도 있어 안타까움을 더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구조와 피해 수습에 총력을 다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철저한 조사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국가애도기간을 일주일간 선포했다.

이상일 기자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