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솔루션

정부, AI 인프라 마련에 총력…AI 반도체에 4000억 쏟는다

오병훈 기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 중심 산업 재편을 위한 총력전에 돌입한다. 각 산업 분야별 AI 전환(AX)를 가속화하기 위해 기술 토대가 되는 반도체 연구개발(R&D)에 4000억원대 대규모 예산을 들이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 AI 컴퓨팅센터’를 구축해 국내 기업들의 AX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전략이다.

2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최,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확정·발표했다. 정부 올해 정책 방향 최우선 목표를 ‘안정화’로 정하고, ▲민생경제 회복 총력 ▲트럼프 신정부 출범에 따른 불확실성 대응 ▲대외신인도 관리 집중 등 세부 계획을 밝혔다.

산업계 관련 대책에서는 AI 활성화 지원책이 핵심 사안으로 언급됐다. 먼저 정부는 AI를 포함해 양자 및 바이오 분야를 3대 게임체인저로 지정해 집중 활성화한다.

AI 산업에서는 글로벌 AI 3위권 국가(AI G3)를 목표로 인프라에 집중 투자한다. 구체적으로 올해 1분기 중으로 국가AI컴퓨팅센터과 더불어 범용인공지능(AGI) R&D를 위한 데이터센터 규제개선 등 포함한 ‘AI컴퓨팅인프라 종합대책’을 수립한다. 신경망처리장치(NPU)를 비롯해 프로세스 인 메모리(PIM) 등 AI반도체 R&D 지원에는 4000억원 예산을 투입하고, 규제 개선 측면에서는 항만 내 데이터센터 입주 허용 위한 ‘항만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 등을 추진한다.

추가로 지난달 2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AI기본법 안착을 위한 후속 조치에도 속도를 낸다. 정부는 상반기 중 AI 관련법 단계적․유기적 정비체계마련하기 위해 AI기본법 하위법령 제정, AI융합 촉진 시책 마련, 고영향AI 기준과 예시 가이드라인을 도입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AI 활용 촉진을 위해 AI 기술 사업화・상용화 기반을 조성하고, AI 핵심인재 양성·확보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달 중 ‘중소기업 인공지능 활용·확산 방안’을 발표하고, 상반기 중으로 ‘AI 핵심인재 양성·확보 방안’을 마련한다.

정부 혁신 전략에는 또 다른 3대 게임체인저 산업 바이오 분야 내 AI 활성화 추진책도 포함됐다. 한국형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혁신전략과 디지털바이오육성을 위한 AI기반 바이오 혁신전략(가칭)을 상반기 내 수립한다는 설명이다. 혁신 전략안 주요내용으로는 ▲AI 활용 바이오 R&D 혁신 ▲AI 바이오 인프라 확보 및 인재양성 ▲바이오데이터 확보·관리·연계 강화 ▲AI융합 바이오 법제 기반 마련 등이 있다.

AI산업과 밀접한 하드웨어 기술 중 하나인 양자 분야 전략도 마련한다. 정부는 양자 분야 핵심기술 선점, 산업화 기반 마련을 위해 올해 하반기 중으로 민관합동 양자전략위원회를 조속히 출범하고, 양자과학기술과 양자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5개년 종합계획 마련한다. 또, 인프라 측면에서 양자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테스트베드 구축 등 연구인프라공동활용을 위한 출연연 중심 연구거점도 지정한다. 연구개발 혁신을 위해 양자 핵심기술 확보 플래그십 프로젝트( 1000큐비트양자컴 등)에 착수, 양자센서 상용화 등 소재・부품 국산화도 추진한다.

테크 기업 유망벤처 성장을 위해서는 초격차 10대 분야 스타트업 지원도 확대한다. 초격차 10대 분야로는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 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빅데이터・AI ▲사이버보안・네트워크 ▲우주항공・해양 ▲차세대원전 ▲양자 등이 있다. 특히 AI 스타트업을 위해서는 특화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소형언어모델(sLM)’ ‘AI 팹리스’ 기술을 포함한 제조, 헬스케어, 문화·콘텐츠 등 5대 고성장 분야 AI 스타트업이 그 대상이다. 이들에게는 대기업-AI 스타트업 협업 챌린지 및 글로벌 AI 펀드 조성, 전문인력 창업지원 등이 제공된다.

최 대행은 이날 회의에서 “근본적인 산업경쟁력 강화방안도 강구하겠다. 주력산업 혁신과 유망신산업 발굴에 역점을 두고, 임시투자세액공제, 가속상각 특례 등 중소기업 투자여건을 대폭 개선하겠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점을 감안해 미국 신정부 정책 전개양상, 민생경제 상황 등 경제여건 전반을 1분기 중 재점검하고, 필요시 추가 경기보강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전했다.

오병훈 기자
digimon@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