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영풍, 매년 1000억원 환경투자 약속하지 않았었나… 300억원대 공시 논란

최천욱 기자
영풍 CI. ⓒ영풍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영풍 CI. ⓒ영풍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디지털데일리 최천욱 기자] 영풍이 연간 1000억원 이상을 환경개선에 투자한다고 했지만 이같은 약속이 지키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영풍이 투자금을 미리 비용으로 설정하는 ‘환경개선 충당부채’ 적립액이 지난해 300억원대에 그쳤기때문이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영풍이 환경개선 충당부채로 쌓은 금액은 390억원으로 나타났다. 2023년 적립액 853억원과 견줘보면 1년새 54.2%(463억원) 줄었다.

환경 개선을 강조하고 있는 영풍이 과연 토양정화명령, 연내 통합환경허가 조건 이행 등의 ‘숙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커진다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구체적으로, 오염물질 반출을 염두에 두고 충당부채를 늘린 규모가 349억원을 기록했다. 토지정화 충당부채 증가분이 4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주변하천 복구 목적의 충당부채 적립액은 9076만원이었다. 지하수정화 충당부채 증가액은 ‘제로(0)’였다.

과거 낙동강에 카드뮴을 유출한 사실이 적발돼 28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는 등 수질오염으로 물의를 빚었음에도 지하수정화 충당부채를 추가로 쌓아두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영풍이 환경개선 투자액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는 재무제표상 ‘충당부채’ 항목이 유일하다. 충당부채를 적립하는 만큼 손익계산서상 비용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충당부채 적립액은 환경개선에 얼마나 지출했는가를 확인하는 바로미터다.

지난해 3분기 영풍의 영업손실은 179억원으로 2023년 대비 적자 전환했다. 당시 영풍은 보도자료를 내고 적자가 발생한 원인으로 환경개선 사업을 지목하면서 “2021년부터 약 7000억원 규모의 환경개선 혁신 계획을 수립해 매년 1000억원 이상 환경개선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 2020년부터 영풍은 토지 정화, 주변하천 복구, 오염물질 반출, 지하수 정화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부채로 쌓기 시작했다. 연간 환경개선 충당부채 적립액은 △2020년 609억원 △2021년 806억원 △2022년 1036억원 △2023년 853억원 △2024년 390억원이다.

환경개선 충당부채 논란은 지난해 하반기에도 촉발됐다. 2024년 들어 9월 말까지 설정한 충당부채가 단 ‘1억원’에 그쳤기 때문이다. 주변하천 복구에 필요한 비용으로 쌓은 것이 전부였고 토지정화, 반출, 지하수 정화에 대해서는 충당부채를 적립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앞서 환경개선 충당부채 과소계상 의혹이 불거지자 영풍은 지난해 11월 “매년 충당금으로 설정한 비용 외에도 투자 및 비용, 운영비 등을 통해 약 1000억원을 환경개선에 투자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환경개선 충당부채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았다는 논란도 여전하다. 일반적으로 정화, 복구 등에 자금을 투입한 경우 재무제표상 충당부채 사용(환입)으로 인식한다. 영풍은 첫 환경개선 충당부채 설정 이듬해인 2021년부터 사용에 나섰다.

지난해의 경우 토지정화 충당부채 249억원, 반출 충당부채 123억원, 지하수 정화 충당부채 14억원 등 386억원을 사용했다. 최근 4년간 누적으로 쓴 금액이 1148억원으로 연평균 287억원 수준이다.

최천욱 기자
ltisna7@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