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투디지트 "한국어 LLM 평가 누구나 안전하게"... 'K-Judge' 오픈소스 공개

이건한 기자
[ⓒ 투디지트]
[ⓒ 투디지트]

[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국내 AI 기업 '투디지트'가 한국어 LLM(대형언어모델) 평가 모델인 'K-Judge'를 16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광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AICA)의 지원을 받아 제작된 본 모델은 향후 국내 다양한 기업·기관으로 사용처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투디지트에 따르면 K-Judge는 LLM이 생성한 한국어 답변을 문맥과 문법 측면에서 분석 후, 모델의 완성도와 자연어 처리 능력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지난 2년 사이 글로벌 AI 시장에서 다양한 LLM이 계속 출시되고 있는 만큼, 국내 AI 업계에서도 최근 모델 제작 기술만큼 검증하는 기술도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확산되는 중이다.

특히 각국의 언어·문화·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로컬 AI' 구축 측면에서 한국어는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다양한 형태의 높임말과 구어체 표현, 문맥 파악 등이 복잡하여 외국어 중심 LLM만으론 만족스러운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국내에서도 AI가 널리 사용되는 공공, 금융, 의료 등 민감정보가 오가는 산업에서는 한국어 역량과 더불어 보안성도 중요하게 요구된다.

K-Judge는 인터넷 연결 없이도 작동 가능한 온디바이스 환경을 지원한다. 특성상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유출 위험성이 낮아 내부 검증이 중요한 보안 중심 산업군과 공공 영역에서 활용도가 높다. 현재 투디지트와 AI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한국수력원자력 AI 지원 시스템 개발에서도 K-Judge 활용이 검토 중이다.

투디지트는 이번 K-Judge 개발 과정에서 광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AICA)의 지원을 받았다고 밝혔다. AICA가 GPU 자원을 제공하고 투디지트가 데이터셋 강화 및 LLM 기술을 제공해 시너지를 내는 협업 형태였다. 양측은 앞으로도 국내 AI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전략적 협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석준 투디지트 대표는 "K-Judge는 한국어 데이터 특성에 최적화된 LLM 평가 모델이다. 다양한 개발 환경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국산 AI 기술의 경쟁력 강화 및 자립적 생태계 조성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건한 기자
sugyo@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