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제 2의 네이버와 카카오를 만든다는 의지로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최근 서울 중구 창화빌딩에 위치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인공지능정책전략대학원에서 만난 김준하 대학원장은 <디지털데일리>와 인터뷰를 통해 AI 스타트업 성장을 위한 정부 역할 중요성을 말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AI는 이제 전 산업분야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핵심 기술이 됐다. 이에 발맞춰 정부에서도 ‘국가 AI 위원회’를 비롯해 ‘AI연구거점’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AI안전연구소’ 등을 내세우며 제도적 기반을 다지기 위한 각종 산업 정책 연구 기반을 다지는 중이다. 국회에서도 다수 의원들이 AI 법제 기반이 되는 ‘AI 기본법’을 발의하고 나서며 AI 산업 정책 초석을 마련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 속에서 김 원장은 가장 중요한 AI 진흥 지원책으로 공격적인 스타트업 지원을 꼽았다. 먼저 그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인터넷 상용화 열풍에서 야기된 ‘닷컴버블’을 딛고 일어설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정부의 대대적인 벤처투자 지원 기조 덕분이었다고 해석했다. 이에 따라 현재 AI 스타트업에 대한 폭발적인 정부 투자로 네이버·카카오와 같은 옥석 기업을 발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AI 슈퍼컴퓨팅 센터 구축 등) AI 인프라 구축 목적의 민간 투자 활성과 같은 정책도 좋지만, 스타트업에 대한 정부 직접 투자가 소극적인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며 “AI 스타트업 생태계 지원을 위해서는 현재 예산의 2배 이상 예산을 투자해 네이버나 카카오같은 알짜 기업들이 탄생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AI 인프라 확충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오는 2025년 예산에서 20대 핵심과제로 AI를 선정하고, 올해 대비 25% 증가한 1조8000억원을 편성하는 등 재정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원장은 최근 ‘소버린AI’ 등을 통해 한국 특화 대형언어모델(LLM)을 강조하고 있는 네이버에 대해서는 스스로, 적극적으로 원천 기술 연구를 이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정보기술(IT) 선두기업으로서 네이버가 관에 의존하는 안정적인 시장을 노리는 것과 별개로, 자체 원천 기술에 대한 공격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봤다. 지나친 관 의존은 원천 기술 개발을 더디게 만들 수 있다는 조언이다.
최근 네이버는 각 국가 문화와 데이터에 특화된 독립적인 AI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와 적극적인 스킨십을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이같은 행보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네이버가 정부와 스킨십을 통해 안정적인 공공 AI 시장 역할을 늘리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김 원장은 “네이버는 (LLM 등) 차세대 원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과 재원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며 “선진 기업이 지나치게 관에 의존하는 것은 국내 AI 생태계 발전을 위해서라도 지양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의 적극적인 직접 투자가 가장 절실하다고 봤다. 현재 정부 지원 기조는 민간투자 활성을 위한 지원 등 간접적인 것에 그치고 있으나, 그에 앞서 정부가 직접 예산을 투입하는 행보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지난 9월 국가 AI 위원회 출범 당시 “민간에서 AI분야에 4년간 65조원을 투자하고, 정부는 투자 활성화를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전한 바 있다.
김 원장은 “정부가 일정 부분 투자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태도를 보여줘야 한다”며 “지금 전세계가 AI 산업 성장을 위해 국가 단위로 대대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는 상황에서 정부가 민간이 먼저 투자하고 나중에 투자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교육부에서 내년 중 도입 예정인 ‘AI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생각도 전했다. 먼저 ‘교과서’라는 단어가 주는 고정관념을 탈피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예컨대 전자 책 일종인 이-북(E-book)이 매체만 다를 뿐 ‘도서’ 대체재라는 특징에는 변함이 없지만, AI 디지털 교과서 경우, 도서 개념인 ‘교과서’와는 애초부터 역할이 다른 매체라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원장은 “자꾸 ‘교과서’라는 단어를 쓰니까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이를 탈피할 수 있는 교육용 AI 활용 체계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며 “교과서로 봐야 할 건 교과서로 보고, AI는 디지털 교보재로써 완전히 새로운 형태 교육 매체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과감하게 ‘교과서’라는 단어를 빼고 ‘디지털 튜터’ 등 완전히 새로운 개념으로 선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이같은 다양한 AI 정책 의제와 관련해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곳이 바로 GIST AI정책전략대학원이라고 강조했다. 공무원이나 기업 대표 등 산업 민관 현직 관계자들에게 정책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취지다.
지난 9월 첫 입학생들을 맞이한 GIST AI정책전략대학원은 김 원장을 필두로 외부 AI 전문 강사진들로 구성됐다. 이곳에서는 정부와 기업을 대상으로 미래 AI 사회에 필요한 글로벌 AI 정책 전략 전문인력에 대한 16주 기간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특히 정부 지자체 공직자 및 기업 임직원 등 10년 이상 경력 보유자를 대상으로 학생을 선발해 공공부문에서 AI 정책공학을, 민간 부문에서는 AI경영공학 맞춤형 과정을 제공 중이다.
그는 “AI가 직업을 없앨 거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직무’를 바꾼다고 생각하고 접근해야 한다”며 “GIST AI 정책전략대학원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 중심 AI 산업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초석을 다지기 위함이다. 윤리정책부터 진흥책까지 다양한 인재를 마련하기 위한 인재 둥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통법 폐지안, 연내 국회 문턱 넘을까…20일 법안소위 전망
2024-11-14 17:03:28[DD퇴근길] 넷마블 방준혁, '지스타' 찾아…정부, 'IP캠 유출' 막는다
2024-11-14 16:59:05운영진 검거됐는데…불법 OTT '티비위키', 서비스 재개 예고
2024-11-14 15:42:25베일 벗은 이진욱…1차 메인포스터로 본 '오징어게임2'
2024-11-14 15:38:02“데이터 트래픽 증가의 종말"…6G 시대, 무엇이 달라지나
2024-11-14 15:28:06'누구·에이닷' 양립 구도…SKT, AI 전략 변화줄까 [IT클로즈업]
2024-11-14 14:11:36[지스타2024] ‘귀여움’과 ‘출혈액션’ 극한의 대비감…넷마블 부스, 방문객 반응은?
2024-11-14 19:11:03티맵모빌리티 3분기 매출 751억원…전년比 순이익률 16.3%p↑
2024-11-14 18:14:48“韓은 좁다”…글로벌 여행 테크기업 꿈꾸는 야놀자의 큰 그림[IT클로즈업]
2024-11-14 17:47:22[DD퇴근길] 넷마블 방준혁, '지스타' 찾아…정부, 'IP캠 유출' 막는다
2024-11-14 16:59:05[지스타2024] 5년 만에 돌아온 SOOP, 소통방송 눈길…AI 기술 비전 수피·싸비 공개
2024-11-14 16:47:43[지스타2024] “넷마블 경쟁력 여전하네”… ‘킹스로드·몬길’로 잠재력 확인
2024-11-14 16:4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