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K-와이파이’ 자축…국민 1% 쓰는 와이파이로 통신비 절감?
이러한 정부와 여당의 축포에도 공공와이파이로 인한 통신비 절감 실효성 논란은 여전히 존재한다. 상당수 이용자가 데이터 요금제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공공와이파이 확대 정책은 국민 이득 없이 혈세만 낭비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4일 과기정통부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와 공동으로 버스 와이파이 전국 구축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서울 여의도 버스 환승센터에서 열린 성과보고회에는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과방위 조승래‧조정식 의원, 문용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 국민체험단 3명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시내버스를 탑승하고 와이파이를 직접 체험하는 시간을 보냈다. 유공자 포상과 기념촬영도 이뤄졌다.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처음으로 1000명을 넘어서며 ’거리두기 3단계‘ 격상까지 검토하는 상황에서도, 정부와 국회가 버스와이파이 성과보고회를 대면으로 개최한 이유는 그만큼 현 정부에서 공공와이파이를 중요 정책으로 삼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날 정부는 전국적으로 무료 데이터 시대를 개막했다고 선언하며, 국민들이 전국 시내버스에서 무료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를 세계 처음으로 구축 완료했다고 공표했다. 다만,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버스 체험은 주요 인사 중심 약 8명 인원으로 제한했다.
과기정통부 최기영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대에 공공와이파이는 국민들의 통신비 걱정을 덜어주는 긴요한 수단”이라며 “한국이 코로나19 상황에서 세계 최초 전국 모든 시내버스에 와이파이를 구축함으로써 K-방역에 이어 K-와이파이 역사를 새롭게 만들어 가고 있다”고 자평했다.
전국 공공와이파이 확대는 21대 국회 과반수 이상을 차지한 더불어민주당 1호 공약이다. 2022년까지 총 5780억원 예산을 들여 전국에 5만3000개 공공와이파이를 확대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동시에 과기정통부는 16개 지자체(제주도 자체 구축)와 2018년부터 올해 10월까지 3년에 걸쳐 시내버스 와이파이 구축을 추진했다. 올해 3차 사업이 완료된 11월부터는 전국 총 3만5006대(정부 2만9100대, 지자체 5906대) 모든 시내버스에서 와이파이를 구축했다.
산업기술보호법 시행령 개정안 '맹탕' 논란… '검은 머리 외국인'에 의한 국가 핵심기술 유출 우려↑
2025-04-01 17:12:45네이버 AI 브리핑 vs 구글 AI 오버뷰 비교, 결과는?…AI 주권 성공할까
2025-04-01 17:10:16[DD퇴근길] 윤 대통령, 운명의 날…탄핵심판 선고 4일 오전 11시 확정
2025-04-01 17:06:56비잡, AI 면접 기능 출시…외국인 유학생 취업 경쟁력 강화
2025-04-01 16: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