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정책통계

정부통합전산센터 “공개 SW 확대는 국내 중소 IT기업 육성위한 것”

백지영 기자

- [인터뷰] 김경섭 행정안전부 정부통합전산센터장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올해는 x86 서버와 공개 소프트웨어(SW) 기반의 클라우드 자원풀(Pool)을 확충하고, 이에 적합한 업무를 전환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김경섭 행정안전부 정부통합전산센터장<사진>은 대전통합센터의 집무실에서 본지와 만나 올해 통합센터의 클라우드 구축 사업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이 인터뷰는 정부 통합전산센터의 올해 사업발주 계획 발표가 있었던 지난 12일 진행됐다.)


통합센터는 현재 대전과 광주 두 곳에서 48개 중앙행정기관의 전자정부시스템을 통합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계획 추진’에 따라 현재 통합센터의 IT인프라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하면서 향후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김 센터장은 “오는 2016년까지 전체 업무의 50%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하고, 공개 소프트웨어 적용 비중도 40%까지 지속적으로 높일 방침”이라면서 “공개 소프트웨어 활용을 높이는 것은 단순히 운영비를 절감하는 차원을 넘어 궁극적으로는 국내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통합센터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웹(Web)과 WAS,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SMS, NMS 뿐만 아니라 x86서버와 네트워크, 보안 등 하드웨어 및 각종 솔루션을 오픈소스 기반으로 적용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공개 소프트웨어라는 것은 다소 범위가 넓다. 최근 클라우드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하둡이나 오픈스택과 같은 오픈소스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들이 개발한 국산 솔루션 및 기술까지 의미한다.


그동안 외산 소프트웨어 일색이던 센터의 인프라에 다양한 솔루션들을 도입함으로써 국내 기업들이 이를 운영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폭넓게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이를 위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도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공개 소프트웨어 도입을 늘리게 되면, x86 서버를 포함한 하드웨어 부문에서도 성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물론 서버의 경우는 현재 국내에서 대부분 외산 업체들이 시장을 차지하고 있지만, 해외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이 자체적인 서버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는 것처럼 통합센터 역시 업무에 적합한 독자적인 시스템 구축이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센터 업무에 맞는 표준을 만들어서 자체 설계를 통한 시스템 구축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얘기다. 국내에도 소수이긴 하지만 자체적인 서버를 만드는 업체들이 있고, 이들이 공급 경쟁을 통해 얼마든지 시장을 확대시켜 나갈 수 있다.

김 센터장은 “최근 정부가 강조하는 대기업-중소기업의 생태계 구축을 떠나서 중소기업들을 육성하는데 센터가 기여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며 “특히 센터가 위치하는 대전이나 광주에 기반을 둔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세종시가 현재 단계별 구축 중이지만, 이와는 별개로 지역에 기반을 둔 중소기업들이 자생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대전 센터만 해도 현재 운영지원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서울에서 내려와서 근무하는 인원이 많고, 이직율도 높다”고 설명했다.

실제 현재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해 근무하는 직원이 대전센터에는 430명, 광주센터에는 300명에 달한다.

이어 그는 “지난해만 해도 센터를 주축으로 한 정부 클라우드를 통해 빨리 시장을 확장시켜 한다는 생각이 강했는데, 올해에는 템포를 조금 늦춰야겠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동반성장이 센터의 핵심가치인 만큼, 국내 중소기업들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을 완성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올해는 인프라(IaaS)와 관리 플랫폼을 완성하는데 주력하고, 이를 통해 어떠한 서비스(SaaS)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기간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현재 클라우드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이 마무리 단계인 만큼, 참여기관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방침이다.

미국정부의 경우, 기업들이 만들어 놓은 퍼블릭 클라우드를 정부기관에서 이용하는 성격이 강하다면, 한국의 경우는 이를 통합센터를 주축으로 자체적인 시스템(프라이빗 클라우드)으로 구축한다는 점에서 접근법이 다르다.

김 센터장은 “5년 내에 정부가 그리는 전체적인 클라우드 그림이 완성되면, 기존보다 약 30%의 운영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5년 후면 센터의 예산이 1조원 정도 될 것인데, 절감되는 3000억원은 국내 중소기업들의 동반성장에 재투자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백업센터(가칭) 구축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그는 “1년 정도 지나면 어느 정도 가시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백지영 기자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