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 도입, 새로운 바람 불까

백지영 기자
[IT 전문 블로그 미디어=딜라이트닷넷]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마전 LG CNS가 IBM의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를 도입했다고 해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관련기사
LG CNS, 국내 최초 컨테이너 데이터센터 도입
LG CNS,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 국내 최초 도입…IBM 제품 선정

LG CNS는 현재 부산 미음지구에 건립 중인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부지에 국내 최초로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도입했다고 밝혔는데요. 이때 도입한 것이 20피트 규모 컨테이너 데이터센터 2대로 고성능 서버 500여대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라고 합니다(1대의 컨테이너에 19인치 랙이 8개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는 화물을 싣는 화물을 싣는 컨테이너에 착안해 각종 IT인프라를 이러한 형태의 박스에 집적하는 형태의 모듈형 데이터센터를 말합니다. 물론 여기에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당연히 화물을 싣을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컨테이너는 아닙니다. 온도나 습도 등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수 제작된 제품이어야 하지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벤더 제품이 20피트 또는 40피트 크기의 컨테이너 박스 안에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부터 냉각장치, 보조발전기 등을 모두 사전에 설치해 전원과 네트워크선만 연결하면 곧바로 쓸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IBM의 경우 서버나 스토리지 등의 IT 장비를 수용하는 ‘IT컨테이너’와 발전시설, 냉각설비, 항온항습장치 등 운영설비를 탑재하는 ‘서비스 컨테이너’로 분리해 구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컨테이너 하나에 IT컨테이너 여러 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IBM에서는 이를 멀티 컨테이너라고 부릅니다.

LG CNS가 도입한 것은 이번에 도입한 것은 ‘IT컨테이너’ 뿐입니다. 서비스 컨테이너에 발전설비나 항온항습장치 등은 LG CNS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한다고 하네요. 특히 부산데이터센터 지하 면진 설비층의 빈 공간을 활용,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 떨어뜨릴 수 있는 공기미로를 설계한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즉, 컨테이너 밑으로 구멍을 뚫어 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지요.

이같은 상황을 두고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를 공급하는 업체들은 “반쪽짜리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가 아니냐”는 입장입니다.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의 이점의 100%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를 완벽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IT장비를 꽉꽉 채우고 냉각이나 항온항습까지 한번에 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릴 있다는 것이지요.

차라리 LG CNS가 IBM의 제품을 도입할 필요 없이 자체적으로 컨테이너를 제작하는 것도 괜찮았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항간에는 LG CNS가 이를 고려하다가 여러가지 이유로 포기했다는 얘기도 있긴 합니다. 물론 이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었던 IBM의 제품을 도입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업계에서는 LG CNS가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와 같이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센터를 도입한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는 의견이 대다수입니다.


천편일률적이던 데이터센터 형태에서 벗어난 것만으로도 상당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지요.

[백지영기자 블로그=데이터센터 트랜스포머]

백지영 기자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