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망·철도망·해양망, LTE-700MHz로 묶으면?
- 박덕규 목원대 교수, 700MHz 이용한 공공 광대역통신망 구축 방안 제시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미래창조과학부가 이달 말 재난안전통신망 기술방식을 결정할 예정인 가운데 기술방식을 비롯해 향후 어떤 대역의 주파수를 할당할지, 망 구축방식은 어떻게 결정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먼저 기술방식은 통신업계나 학계 모두 롱텀에볼루션(LTE)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금까지 테트라(TETRA), 와이브로, 아이덴(iDEN) 등이 기술방식으로 거론됐지만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났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도 LTE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공공안전(Public Safety) 통신망인 PS-LTE가 주목 받고 있다. LTE는 현존하는 가장 빠른 통신기술이고 표준에 기반한 우수한 품질이 장점이다.
여기에 철도망, 해상통신망(e-내비게이션) 등 재난통신망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공공망들도 LTE 기반으로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는 점에서 LTE가 재난통신망의 유력한 기술방식으로 거론되고 있다.
LTE가 유력한 기술방식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관건은 어떻게 망을 운영하고 어떤 주파수를 재난통신망에 배정할지다.
먼저 주파수는 700MHz를 배정하는 것이 가장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700MHz가 아닌 1.8/2.6GHz 대역 주파수를 이용할 경우 700MHz에 비해 2배 이상의 구축비와 운용비가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버리지 범위에 따라 비용이 3~4배까지 늘어날 수도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700MHz가 품질, 비용면에서 가장 적합하지만 문제는 수요가 너무 많다는 점이다. 해외에서는 주로 이동통신(LTE-FDD)으로 용도를 결정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동통신은 물론 지상파(UHD 용도), 철도망(LTE-R), 해양통신망(e-내비게이션) 등이 700MHz 주파수를 요구하고 있다.
700MHz 주파수 108MHz 폭 중 40MHz는 통신용으로 용도가 확정됐다. 하지만 통신업계는 데이터 트래픽 급증을 고려하면 나머지 대역도 통신용으로 할당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총 54MHz(9개ch)을 요구하고 있다. 재난통신망에서는 기술방식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LTE로 기술방식이 확정될 경우 약 20MHz 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밖에 철도망이(15MHz), 해양통신망(20MHz) 등이 700MHz를 요구하고 있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대해 박덕규 목원대 교수는 15일 오후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열린 ‘공공안전 및 재난구조 전파통신 응용 워크숍’에서 통합주파수를 이용한 공공 광대역통신망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재난통신망, 철도망, 해양통신망이 LTE 기반으로 구축된다는 전제아래 3개 공공망을 통합할 경우 망구축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주파수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3개 통신망이 모두 700MHz를 요구하고 있다”며 “통합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대역폭은 축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교수는 “용도별 시스템 구축 요구사항이 다르지만 하나로 수용해 설계할 경우 통합망 구축이 가능하다”며 “20MHz 정도면 통합망을 운영하고 트래픽이 급증할 경우 상용망으로 보완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각 통신망을 관장하는 부처간 갈등으로 현실적으로 구축 및 운영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박 교수는 가칭 ‘공공망 광대역 통신사업공단’ 설립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부처간 의견을 조정하는 것은 물론, 단일 콘트롤타워를 통한 통제가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이밖에 박 교수는 통신망 구축방식으로는 자가망 또는 자가망에 상용망을 보완재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았다. 기존의 상용망 서비스만 이용하는 경우 망구축기간은 단축되겠지만 보안성이나 특수기능, 비용측면에서 불리하다는 것이 박 교수 설명이다.
재난통신망(19만3598대), 철도망(2만7563대), e-내비게이션(8만대) 등 공공 광대역 통신망에서 이용될 단말기는 약 30만대(30만1161대)로 추산되고 있다. 단말기 구매비용을 포함해 1달 사용료 5만9840원(음성 2만6290원 데이터 3만3550원)을 12년간(2년은 구축기간) 사용할 경우 총 비용은 2조595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박 교수는 “상용망의 경우 오히려 비용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며 “자가망의 경우 이용기관의 완전한 망 제어가 가능하고 상용망을 보완재로 이용할 경우 주파수 요구 수준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틱톡 따라잡기"...인스타그램 피드 비율 개편에 사용자 원성
2025-01-20 21:38:16이재명 대표, 6대 은행장과 간담회… "정치권이 어떤 도움 줄 수 있는지 듣겠다"
2025-01-20 18:25:53트럼프 취임 코 앞… 비트코인, 11만 달러 돌파 목전
2025-01-20 17:40:57소액주주연대, 고려아연 '집중투표제' 도입 필요성 재차 강조… 국민연금 '찬성' 결정 거론
2025-01-20 17:40:18“소형펩리스·헬스케어 사업 강화 집중” 심플랫폼, 3월 상장 목표 공모 절차 시동
2025-01-20 17: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