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사이버 사찰’ 방지법 발의…집행 내역 대국민 통지 강화

이대호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정부의 무분별한 사찰을 방지하는 이른바 ‘사이버 사찰’ 방지법이 발의됐다. 법안엔 그동안 거의 작동하지 않았던 집행 내역에 대한 대국민 통지를 강화하고 본인에게 개인정보 제공 사실도 통지토록 했다. 또 제3자에게 자기정보를 제공한 현황도 반드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12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사단법인 오픈넷과 공동작업을 통해 지난 9일 정부 사찰 방지와 국민의 기본권 침해를 막기 위한 관련 법률 개정안 4건(통신비밀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 개인정보보호법, 형사소송법)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먼저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안은 수사기관이 감청, 통신사실확인, 통신압수수색을 집행할 경우 종료 후 90일 이내에 당사자에게 집행 내역을 통지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단 국가안보나 공공의 안녕, 사람의 생명·신체·재산에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법원의 허가를 받아 1년까지만 유예할 수 있도록 했다.
 
현행법은 기소 또는 불기소처분을 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통지하게 되어 있으나, 처분을 하기 전까지는 몇 년이고 통지를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검사장의 승인을 얻어 무기한 유예하는 것이 가능해 통지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오픈넷은 “대국민 통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사법부가 영장을 발부할 때 수사상 필요와 프라이버시 보호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과정에 건전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영장기각율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오픈넷은 원래는 통신압수수색에 대한 당사자 통지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에 따라 사전통지 또는 즉시통지를 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통과가능성 등을 고려해 현행 통지 조항을 개선하는 선에서 발의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또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은 통신자료 제공의 근거규정인 제83조 제3항을 삭제, 통신자료의 제공이 법원의 압수수색영장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차를 강화했다.

현행법은 수사기관이 영장 없이도 이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주소 등이 담긴 통신자료 제공을 요청할 수 있고, 전기통신사업자는 그 요청에 따를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실무상 대부분 제공돼 왔다. 이는 영장주의에 위배될 소지가 많아 그동안 많은 지적을 받아왔으며, 2014년 2월 국가인권위원회도 폐지권고를 한 바 있으며 2014년 6월 캐나다 대법원에서도 위헌판정을 받은 바 있다.

그리고 전기통신사업자들에게 감시협조 현황에 대해 보고하고 국민에게 공개하도록 했다. 그동안 통신제한조치,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전기통신 압수수색의 집행에 대한 통계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 수사기관의 사이버 감시 실태에 대한 국민의 알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은 공공기관을 비롯한 모든 개인정보처리자가 개인정보 이용 내역을 정보주체에게 주기적으로 통지하도록 하고, 시험, 감사와 같이 비밀유지가 필요한 공공기관의 업무에 대해서도 정보주체가 제3자 정보제공 현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그동안 수사기관은 공문 한 장만으로 공공기관에 개인정보를 요구하고 제공 받아 왔는데, 정작 당사자는 이러한 사실을 통보받지 못해 자신의 정보가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모르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현재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에관한법은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에게 개인정보이용내역을 1년에 한 번씩 통지해주도록 되어 있던 것을 법 개정을 통해 똑같은 개인정보처리자인 공공기관에도 똑같은 의무가 적용되도록 한 것이다. 형사소송법 제199조에 따라 공공기관이 임의로 개인정보를 수사기관에 제공하는 경우 이와 같은 통지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 현행법은 시험이나 감사를 수행하는 공공기관이 응시자나 피감사자에게 자기정보열람권을 보장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고 있으나 법 개정을 통해 제3자에게 자기정보를 제공한 현황만큼은 공무에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형사소송법 개정안은 수사기관이 공공기관에 개인정보 제공을 요구할 경우 과도한 개인정보 제공을 요구하지 못하도록 기존의 ‘필요한 사항’을 ‘최소한도의 범위 안에서 필요한 사항’으로 한정했다.

오픈넷은 “이번 개정안 발의 작업 참여뿐만 아니라 개정안 통과를 위한 다양한 캠페인 및 헌법소원 등을 준비 중”이라며 “표현의 자유 보장과 국민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정부의 무분별한 사이버 사찰에 제동을 걸고 국가감시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이대호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