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2015] ‘韓‧中‧日’ TV 업계 트렌드, QD와 UHD 생태계 구축
먼저 삼성전자는 QD 기술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LCD) TV에 집중했다. ‘SUHD’라는 브랜드를 붙이고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다. 예년처럼 ‘세계 최대’ 화면크기나 해상도에 집착하기보다는 울트라HD(UHD) 생태계 구축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실제로 삼성전자와 파나소닉, 샤프, 돌비비젼, 테크니컬러, 디즈니, 20세기 폭스 등은 프리미엄 UHD 콘텐츠 확산을 위한 ‘UHD얼라이언스’를 결성했다.
UHD얼라이언스는 TV, 영화, 콘텐츠 업체가 하나로 모여 UHD 콘텐츠의 질과 양을 모두 높이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삼성전자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기자들과 만난 김현석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은 “그동안 UHD 화질에 대한 정의가 없었는데 UHD얼라이언스를 통해 고품질 UHD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UHD 규격은 상반기에 공개될 예정이다.
LG전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주력했다. ‘컬러프라임’ 시리즈와 같은 QD TV 라인업을 공개하기는 했으나 따로 시간을 들여 제품을 설명하지는 않았다. 단순소개에 그쳐서 전반적으로 큰 비중을 두지 않는 모양새다. 대신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맞아 플랫폼, 연결성, 생태계 구축과 관련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일상 언어로 대화하듯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홈챗’은 스마트홈 전반에 있어 폭넓은 호환성을 염두에 뒀다.
일본 업체 가운데서는 소니가 그나마 볼만한 TV를 내놨다. 11종에 이르는 신형 UHD ‘브라비아’ 시리즈를 공개했다. 이미 알려진 것처럼 스마트TV 시장 재진출을 노리는 구글과 함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확실히 밀어주고 있다. 브라비아 UHD TV는 4.9mm에 불과한 초슬림을 강조했으며 사용자경험(UX) 확대를 위한 ‘원플릭 엔터테인먼트’도 선보였다.
중국 TV 업체 가운데서는 TCL이 가장 돋보였다. QD TV 양산에 본격적으로 들어간 자신감을 바탕으로 글로벌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TCL에 QD 필름을 제공하는 QD비전도 QD TV 시장 확대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스베이거스(미국)=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윤석열 파면] 헌재 “야당의 방통위원장 탄핵소추, 계엄령 요건 될 수 없어”
2025-04-04 16:47:39베스핀글로벌, 지난해 연결 흑자 달성…‘AI MSP’ 전환 본격화
2025-04-04 16:3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