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네이버가 ‘HW’ 협업을 통해 기술+글로벌로 나가는 이유

이수환


- 모바일 시대 이후를 대비한 네이버만의 포석
- 데이터도 결국 사람이 중심, 인지컴퓨팅에 주목

[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현재 네이버는 새로운 시험대에 올랐다. 연례 개발자 행사인 ‘데뷰(DEVIEW)2015’에서 연구개발(R&D) 조직인 네이버랩스를 통해 ‘로보틱스’, ‘모빌리티’, ‘스마트홈’ 등의 분야에 5년 동안 인수합병(M&A)을 포함한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1000억원을 투자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이는 사물인터넷(IoT)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의미여서 향후 관련 업계에 끼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일부에서 잘못 해석하고 있지만 네이버가 직접 제조업에 나서는 것은 아니다. 송창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네이버가 직접 하드웨어(HW)를 개발하는 것에서부터 역량 있는 기업의 매니저까지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국내외 다양한 기업과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으며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풀어 설명하면 IoT 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보드에서부터 소프트웨어개발키트(SDK), 클라우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소가 필요한데, 이 모든 과정에 있어 네이버의 직접적인 영향력을 높이겠다는 의미다. 예컨대 인지컴퓨팅을 이용하려면 데이터가 처리되는 방식은 물론이고 독자적인 알고리즘 확보가 필수적이다. 데이터는 기계가 만들어내지만 결국 기계를 사용하는 것은 사람이다. 네이버는 이 모든 데이터의 흐름에 관여하고 고유의 색을 접목시키겠다는 의도다. 국내외 기업은 물론 산학 협력에 집중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기기가 대중화되기 이전까지는 PC의 역할이 컸다. 하지만 PC는 내리막길이고 스마트 기기의 앞날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가상현실(VR)이나 웨어러블 기기가 자꾸 언급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데뷰2015의 핵심은 ‘비욘드 모바일’, 그러니까 모바일을 넘어서는 과제에 있다.

돌이켜보면 네이버는 서비스적으로 라인의 글로벌 성공을 경험했고 일본에서 두 차례의 검색 실패를 맛봤다. 최근에는 웹툰, 밴드 등의 네이버가 보유한 서비스의 글로벌화에 힘쓰고 있으며 글로벌을 무대로 ‘V’앱 등을 내놓고 있다. 창사 이래 줄 곧 글로벌이었다. 네이버랩스는 이러한 네이버 서비스들의 핵심기술을 내재화하고 고도화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춰왔던 전형적인 기술 연구 조직이다.

새로운 상황에서의 문맥(Context)을 이해하고자 생활속 HW까지 연결해 새로운 플랫폼을 만드려는 것은 어쩌면 필연에 가깝다.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을 위한 너무나도 자연스런 흐름이다. 인터넷 기업과 HW와의 협업은 이미 실리콘밸리의 구글, 페이스북 뿐만 아니라, 중국의 알리바바, 바이두, 텐센트 등과 같은 기술 기업의 움직임과도 일맥상통한다. 이들이 HW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사용자의 상황적 문맥을 파악해 사용자 의도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지 HW 제조 자체나 판매, 즉 사업 다각화를 위한 움직임은 아니다.

네이버는 글로벌 기업과 선택과 집중으로 통해 경쟁하기 위해 무수히 많은 상황이 아닌,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한 ‘생활 속 HW’와의 융합을 선택한 셈이다. 스마트폰 환경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문맥을 넘어서 실생활의 HW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환경을 SW와 융합하기 위해 당연한 선택을 했다.

네이버는 “혁신 기업은 그리 거창한 도전을 수반하지 않는다. 현재의 불편함을 집요하게 파고들어 개선하고 기득권이 제공해온 것보다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면 충분하다”며 “어려운 것은 모바일 시대에는 그 경쟁의 대상이 글로벌 플레이어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이수환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